타령장단
타령장단은 3소박 4박자(4/♩.), 즉 12/8박자로 굿거리장단과 구조가 같은 장단이다. 타령장단은 가면극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하며 궁중정재에서도 많이 사용된다. 서울·경기도의 무당춤, 가면극, 줄타기에서 쓰인다. 느린 한배의 늦타령과 빠른 한배의 잦은(자진) 타령 또는 볶는 타령이 있다. 장단의 리듬에 변화를 주어 다양한 형태로 연주한다. 자진타령장단은 서도와 경기도의 무당춤, 가면극, 줄타기 등에서 주로 쓰이는데, 리듬이 명확하고 경쾌하여 흥겨운 느낌을 준다. 타령장단의 기본형은 다음과 같다.
긴타령
잦은타령
허튼타령
양주별산대놀이에서 타령장단을 허튼타령장단이라고 하는데, 전 과장에 걸쳐 가장 많이 쓰인다.
송파산대놀이, 양주별산대놀이 등의 깨끼춤에도 타령장단이 사용된다. 송파산대놀이에서는 허튼타령이라고 하며 춤사위의 속도에 따라 느린허튼타령, 허튼타령, 자진허튼타령으로 연주한다. 송파산대놀이에 쓰이는 주요 장단인 염불장단, 타령장단, 굿거리장단 중 타령장단이 가장 기본이 되는데, 양주별산대놀이가 염불장단의 춤이 발달한 반면에 송파산대놀이는 타령장단의 춤이 발달했다. 타령장단은 리듬이 명확하고 경쾌하여 염불장단의 거드름춤보다 활기 있고 다양한 춤사위를 표현한다. 송파산대놀이에 나오는 대부분의 불림('나비야 청산가자', '금강산이 좋단 말은', '녹수청산 깊은 골에', '달아 달아 밝은 달아' 등)은 타령장단에 맞춰서 부른다.
봉산탈춤에서 타령장단은 염불장단과 굿거리장단보다 많이 쓰인다. 제1과장 사상좌춤, 제2과장 팔먹중춤, 제3과장 사당춤, 제4과장 노승춤 중 제1경 노장춤과 제3경 취발이춤, 제5과장 사자춤 등에 쓰인다.
강령탈춤에서는 제7과장 미얄영감·할미춤을 제외한 전 과장에 걸쳐 사용된다. 타령장단은 제3과장의 목중춤, 제6과장 2경의 노승춤 등의 반주에 쓰인다. 늦타령장단은 제3과장 먹중춤에서 연주된다.
은율탈춤뿐만 아니라 해서탈춤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장단으로서, 은율탈춤의 기본춤사위와, 제1과장 사자춤, 제3과장 팔먹중춤, 제4과장 양반춤 등에서 연주된다. 은율탈춤에서는 극적 상황에 맞게 중간 속도 또는 빠른 속도로 변화시켜 연주한다. 타령장단을 느리게 연주하는 늦타령장단은 은율탈춤의 제2과장 헛목(상좌)춤에서 염불타령장단 뒤에 연주되며, 제6과장 미얄할미·영감춤에서 영감이 처음에 등장하며 춤을 출 때도 연주된다.
가산오광대에서는 문둥이가 타령장단에 맞추어 춤을 추며 등장하고, 양반들도 타령장단에 맞추어 나오는 대목 등에 나타난다.
남사당 덧뵈기에서 타령은 주로 깨끼춤의 반주로 사용되는 장단이자 곡명이다. 3소박 4박자(4/♩.)로 되어 있고 굿거리장단과 구조가 같다. 리듬이 명확하고 경쾌하며 흥겨워서 인간의 신체활동 속도 감각에 적당한 빠르기로 되어 있어 다양한 춤사위를 형성할 수 있다. 덧뵈기에서는 셋째마당의 끝부분에 피조리춤이 계속되는 가운데, 넷째마당 먹중잡이가 시작되면 먹중이 부채로 얼굴을 가리고 서서히 나오면서 타령장단으로 바뀌며, 먹중이 두 피조리를 데리고 춤을 추는 대목에서 사용된다.
꼭두각시놀음에서 타령장단은 등장인물이 춤을 출 때 쓰인다. 최상수 채록본에 의하면 제2막에서 박첨지동생이 춤추러 나올 때, 이 장단이 연주된다. 박헌봉 채록본에서도 표생원이 '탈춤가락' 한 번 추겠다고 하는데 이 장단이 타령에 가깝다.
줄타기에서 사용하는 타령장단은 줄판의 분위기를 고조시키고 줄광대가 속도감 있게 기예를 펼치도록 도와준다. 김영철의 줄타기에서는 염불장단으로 기예를 시작하여 타령장단에 맞추어 여러 가지 기예를 펼친다. 이러한 장단의 변화는 줄타기의 초반부에서는 관중의 관심을 줄판으로 끌어들이고, 중반부에서는 자칫 지루해할 수 있는 관중의 흥미를 지속적으로 강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김대균의 줄타기에서도 대부분의 기예를 타령장단에 맞추어 진행한다. 조송자의 어름줄타기에서는 어름산이가 줄에 오르면 곧바로 타령장단에 맞춰 장단줄, 거미줄 늘이기, 콩심기, 화장사위 등의 날렵한 기예를 펼쳤다.
참고문헌
- 국립문화재연구소편, 『송파산대놀이』, 국립문화재연구소, 2005.
- 김호석, 『봉산탈춤음악본』, 민속원, 2006.
- 박용태·양근수‚ 『박첨지가 전하는 남사당놀이』‚ 엠-애드‚ 2008.
- 박전열, 『봉산탈춤』, 화산문화, 2001.
- 심우성‚ 『남사당놀이』‚ 화산문화‚ 2000.
- 윤순병, 「줄타기 연희와 음악에 대한 연구」, 용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 이두현, 「양주 별산대놀이」, 『한국가면극선』, 교문사, 1997.
- 이보형, 『무형문화재 음악조사보고서 Ⅳ-삼현육각』, 문화재관리국, 1984.
- 이호승, 「한국 줄타기의 역사와 연행 양상」,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 임혜정, 「한국 가면극의 음악 고찰-본산대놀이계통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 전경욱, 『은율탈춤』, 국립문화재연구소, 2003.
- 최창주, 『봉산탈춤』,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