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불도드리장단

염불도드리장단

염불도드리장단은 3소박 6박자(♩.×6)이며, 염불장단이라고도 한다. 궁중정재와 민간무용은 물론, 경기도 무무(巫舞)와 양주별산대놀이·봉산탈춤가면극줄타기 등에 두루 쓰인다.

가면극에서 염불도드리장단을 염불장단 또는 도드리장단이라 한다. 느린 한배로 연주되는 긴염불장단과 보통빠르기로 연주되는 염불장단이 있다. 장단의 기본형은 다음과 같다.

긴염불장단

긴염불장단

양주별산대놀이에서는 제1과장 상좌춤, 제8과장 파계승놀이의 춤 반주에 쓰인다.

송파산대놀이에서 염불장단에 춤추는 배역은 첫째상좌, 옴중, 노장이며 대개는 염불장단에 느린 거드름춤을 춘다. 옴중의 불림인 '얼-수 절-수 지-화 허-자 저르르르······'도 염불장단에 맞춰 부른다.

퇴계원산대놀이에서 긴염불장단은 거드름춤 반주에 쓰인다.

봉산탈춤에서 염불도드리장단을 염불장단 또는 도드리장단이라고 하는데, 상좌춤, 노장의 복무(伏舞), 탑돌이 돌기 등에 쓰인다.

강령탈춤, 은율탈춤, 봉산탈춤 등 해서탈춤에 두루 쓰인다. 강령탈춤에서 말뚝이·먹중·상좌·노승이 이 장단에 맞춰 춤을 춘다. 제2과장 말뚝이춤에서 말뚝이가 입장하여 염불도드리장단 6장단에 우방진(右方進)·좌방진(左方進)·회우방진(回右方進)·회좌방진(回左方進)을 한다. 제3과장 먹중춤에서는 두 먹중이 차례로 등장하여 염불도드리장단에 맞춰 춤을 추고, 제4과장 상좌춤, 제6과장 노승상좌춤 등에 쓰인다.

은율탈춤에서는 ♩.=28 정도의 느린 속도로 연주된다. 구음으로는 1박에 '덩--', 2박에 '쿠쿵--', 3박에 '덩-덕', 4박에 '떠쿵--', 5박에 굴리는 박인 '덩더러러러러러', 6박에 '쿵-쿵'이며, 제2과장 헛목(상좌)춤을 처음 시작할 때 연주된다.

줄타기의 명인 이동안(李東安, 1906-1995)의 경우, 줄광대가 염불장단에 맞추어 줄에 오른 후 처음으로 줄 위를 건너갔다가 건너올 때, 줄 위에서 마지막으로 내려올 때 등에 염불장단을 사용했다. 염불장단은 줄광대가 흔들거리며 줄 위를 걸어가는 장면을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김대균도 줄고사를 마치면 바로 염불장단에 맞추어 기예를 시작해서, 줄 위에서 내려올 때도 염불장단을 사용한다. 또한 염불장단은 줄광대가 기예를 펼치지 않고 장단에 맞추어 춤을 추는 장단줄에서도 활용된다. 조송자의 어름줄타기에서도 어름산이가 줄에 오를 때 염불장단을 사용한다.

남사당패 꼭두각시놀음에서 염불장단이 사용된 예는 최상수 채록본에 의하면 본격적인 연행이 시작되기에 앞서 등장인물들이 포장막 위로 나왔다 들어갔다 하기를 반복하는 부분에 보인다.

남사당 덧뵈기에서는 넷째마당 먹중잡이에서 먹중이 두 피조리를 데리고 춤을 추는 대목 등에서 사용된다.

참고문헌

  • 박용태·양근수‚ 『박첨지가 전하는 남사당놀이』‚ 엠-애드‚ 2008.
  • 박전열, 『봉산탈춤』, 화산문화, 2001.
  • 심우성‚ 『남사당놀이』‚ 화산문화‚ 2000.
  • 심우성, 『줄타기』, 화산문화, 2000.
  • 이두현, 「양주 별산대놀이」, 『한국가면극선』, 교문사, 1997.
  • 이보형, 『무형문화재 음악조사보고서 Ⅳ 삼현육각』, 문화재관리국, 1984.
  • 이호승, 「한국 줄타기의 역사와 연행 양상」,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 임혜정‚ 「꼭두각시놀이의 음악 연구」‚ 『공연문화연구』 13‚ 한국공연문화학회‚ 2006.
  • 임혜정, 「한국 가면극의 음악 고찰-본산대놀이계통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 전경욱, 『은율탈춤』, 국립문화재연구소, 2003.
  • 정형호, 『강령탈춤』, 화산문화, 2002.

참조어

염불장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