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사당패
남사당패는 본래 남자만으로 구성된 유랑예인집단이었다. 이들은 꼭두쇠(우두머리)를 정점으로 풍물(농악)·버나(대접돌리기)·살판(땅재주)·어름(줄타기)·덧뵈기(가면극)·덜미(인형극, 꼭두각시놀이) 등을 공연했다. 옛날에는 이 여섯 연희 외에 요술(환술)도 있었다고 한다. 이들은 일정한 보수 없이 숙식과 다소의 노자만 제공받게 되면, 마을의 큰 마당이나 장터에서 밤새워 놀이판을 벌였다. 현재 남사당패는 중요무형문화재 제3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위의 여섯 가지 연희를 전승하고 있다.
남사당은 조선 후기의 사당, 거사, 굿중패와 더불어 재승(才僧)계통 연희자들의 후예이다. 재승 계통의 연희자는 삼국시대에 이미 존재했다. 대표적인 예로 신라 원효의 무애희는 재승 계통 연희자에 의해 고려를 거쳐 조선 전기까지 전승되었다.
재승 계통 연희자는 고려가 불교 국가가 되면서 더욱 크게 활약했을 것으로 보인다. 『고려사』 문종 10년(1056) 9월 조의 기록에 의하면, 고려시대에는 불교에 속한 무리이면서도 장사를 하고 기생들과 뒤섞여 놀며, 속인의 복장을 하고 절을 짓는다는 명목으로 악기를 연주하며 공연하고 다니는 사람들이 있었다. 이들은 불교에 이름을 올려놓고 승려 행세를 했지만, 실제로는 속인과 마찬가지였다. 고려시대에는 이런 재승 계통 연희자들이 우란분재뿐만 아니라 연등회·수륙재·불탄일 등의 불교 행사에서도 연희를 공연했을 것이다.
풍물 남사당패
줄타기 남사당패
무동타기 남사당패
버나 남사당패
꼭두각시놀이 남사당패
고려시대의 재승들은 불교에 이름을 걸어 놓을 수 있었지만, 조선조의 재승들은 사원에서 쫓겨나 호적도 없고, 부역도 하지 않으며, 조세도 부담하지 않는 유랑예인으로 전락했다. 『세조실록』 14년 5월 4일 조에서는 "승인(僧人)의 사장(社長)들이 혹은 원각사(圓覺寺)의 불유(佛油)를 모연(募緣)한다 일컫고, 혹은 낙산사(落山寺)를 짓는 화주승(化主僧)이라고 일컬으며"라고 하여 사장이 절과 관련된 사람임을 밝히고 있다. 이들은 조선 후기에 사당패나 남사당패가 일정한 절과 관계를 맺고 있으면서, 불사(佛事)를 돕는다는 명분을 내세우며 연희를 공연하고 다닌 것과 일치한다. 이러한 조선 전기의 사장(社長)은 고려시대 재승 계통 연희자들의 후예로서, 조선 후기의 사당(社堂)·거사(居士)·남사당·굿중패 등으로 계승되었다.
유랑예인집단은 수입을 위해 경제력이 있는 곳을 찾아다녔는데, 그곳은 주로 장터·파시·마을 행사 등이었던 것으로 나타난다. 경기도 안성 청룡사 근처에 남사당패의 근거지가 있었던 배경은 청룡사라는 절과의 관계뿐 아니라, 삼남의 물산이 집결되고 유통되던 안성 시장과의 관련성도 고려해야 할 것이다. 경남 하동 목골의 사당패도 쌍계사와 화개 장터를 연결시켜 이해해야 할 듯하다.
남사당패는 파시(波市)도 찾아가서 공연했던 것으로 나타난다. 파시는 어류 등을 거래하기 위해 바다에 서는 장이다. 파시는 조기처럼 조류를 따라 다니는 회유성 어류 어장 부근의 섬에 섰으며, 주로 서해와 남해에 많이 섰다. 파시가 서는 섬에는 수백 척의 배가 몰려들었다. 그래서 어부들이 묵는 임시 숙소가 만들어지고, 수십 채의 음식점·주점 등이 들어섰으며, 창기와 작부들이 모여들어 큰 번화가가 형성되었다. 정약용은 『목민심서(牧民心書)』에서 조창(漕倉, 조선시대에 세곡(稅穀)의 수송과 보관을 위하여 강가나 바닷가에 지어 놓은 창고)을 열려고 할 때 포구들에 잡류가 찾아오는 것을 엄금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즉 우파(優婆, 사당)·창기(娼妓)·주파(酒婆)·화랑(花郞, 무당의 지아비인 광대)·악공(樂工)·뢰자(櫑子, 초라니)·마조(馬弔, 투전)·도사(屠肆, 소나 돼지의 도살) 등 팔반천류(八般賤流)가 그것이다. 이 가운데 사당·광대·악공·초라니 등 유랑예인에 해당하는 연희자들을 거론한 것은 이들이 조창에서 곡식을 한양으로 보내기 위해 배들이 들고날 때 조창과 포구들을 찾아들었기 때문이다.
남사당패는 주로 마을이나 장시를 떠돌아다니며 공연을 했지만, 한편으로 마을 공동체 등의 공적 행사에 초청되어 일종의 계약관계에서 공연을 벌이기도 했다. 전남 완도군 금당도에서는 18세기 말에 국가에 묶여 있던 봉산(封山)이 풀리면서, 새롭게 개간한 경작지와 풍부한 목재를 기반으로 삼아 동계(洞契)와 목계(木契)가 설립되어 활발하게 운영되었다. 그런데 1862-1927년까지의 지출 내역을 기록하고 있는 『동계책』에 1880-1905년 사이에 남사당과 가객에게 여섯 번 돈을 지출한 항목이 보인다. 이는 이 마을의 공동체 행사와 어떤 연관 속에서 남사당과 가객이 초청되어 공연했음을 밝혀 준다.
남사당패의 연희 종목 가운데 버나는 대접돌리기, 살판은 땅재주인 근두, 어름은 줄타기로서 산악·백희의 곡예에 해당하는 전문적 종목들이고, 풍물 역시 악기연주로서 산악·백희에 해당한다. 또한 지금은 전승이 단절되었지만, 옛날에 있었다는 요술도 환술로서 역시 산악·백희의 종목이다. 덧뵈기는 양주별산대놀이와 매우 유사한 내용으로서 본산대놀이 계통 가면극을 차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덜미는 흔히 꼭두각시놀이라고 불리는 인형극이다.
사당패와 남사당패는 관계를 맺고 있는 사찰에서 내준 부적을 가지고 다니며 팔고, 그 수입의 일부를 사찰에 바쳤다. 그래서 남사당패들은 자기들의 수입으로 불사를 돕는다는 것을 내세웠다. 사당패나 걸립패의 구성원에 승려나 보살이 직접 참여하고 있거나 뒤에서 조종하고 있었고, 그들의 수입이 사종(四種, 아미타(阿彌陀)를 생각하여 떼어 주는 공양물)이란 명목으로 사찰에 바쳐졌던 것은 현재 남아 있는 많은 시주질(施主秩)들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므로 남사당패의 꼭두각시놀이 중 건사(建寺)거리에 절을 짓는 내용이 있는 것은 그들이 명분으로 내세우는 공연목적과 일치한다.
남사당패는 가면극인 덧뵈기, 인형극인 꼭두각시놀이뿐만 아니라, 줄타기·대접돌리기·땅재주 등 요즘의 서커스에 해당하는 전통연희를 전승하고 있는 유일한 전문예인집단이다.(☞ 남사당패 연희자들에 대한 내용은 꼭두각시놀음, 덧뵈기 항목 참조)
참고문헌
- 심우성, 『남사당패연구』, 동문선, 1989.
- 이경엽, 「도서지역의 민속연희와 남사당노래 연구」, 『한국민속학』 33, 한국민속학회, 2001.
- 전경욱, 『한국의 전통연희』, 학고재, 2004.
- 전경욱, 「감로탱에 묘사된 전통연희와 유랑예인집단」, 『공연문화연구』 20, 한국공연문화학회,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