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약증

비약1)

[ 脾約證 ]

傷寒陽明病, 自汗出, 小便數, 則津液內竭, 大便必難, 其脾爲約, 脾約丸主之 方見下[仲景]2). ○ 成無己曰, 胃强脾弱, 約束津液, 不得四布, 但輸膀胱, 故小便數而大便難, 制脾約丸, 以下脾之結燥3). 丹溪曰, 旣云脾弱, 脾弱則土虧, 肺金受火之剋, 肺耗則津竭, 脾失轉輸之令, 肺失傳送之職, 宜大便秘而難, 小便數而無藏蓄也. 理宜滋養陰血, 使陽火不熾, 則肺金行淸火4), 脾土淸健, 而運行津液, 則腸潤而自通矣. 今此丸, 用之於熱甚而氣實, 與西北人壯實者, 無有不安. 若用於東南人, 與熱雖盛而氣血不實者, 將見脾愈弱, 而腸愈燥矣. 須知在西北, 以開結爲主, 在東南, 以潤燥爲功[丹溪]5).

상한 양명병에 땀이 저절로 나고 오줌이 자주 마려우면 진액이 속에서 말라 대변보기가 반드시 힘들게 되는데, 이것은 비가 묶인 것[脾約]으로, (처방은 뒤에 있다)이 주치한다(중경). ○ 성무기는 "위기(胃氣)가 강하고 비기(脾氣)가 약하면 진액이 묶여서 사방으로 잘 퍼지지 못하고 오직 방광으로만 보내기 때문에 오줌이 자주 마렵고 대변이 잘 나오지 않게 된다. 이때는 비약환으로 비(脾)에 말라서 뭉친 것을 내려보내야 한다"고 하였다. 주진형은 "이미 비가 약하다고 하였는데, 비가 약하다는 것은 토(土)가 매우 약하다는 것이며, [토가 약하면 土의 子인 金이 약해져] 폐금(肺金)이 화(火)의 제약[剋]을 받아서 폐기가 소모되어 진액이 마르게 된다. 그러면 비가 옮겨주는 기능[轉輸]을 잃게 되고 폐가 [진액을 받아] 전해주는[傳送] 기능을 못하게 되어, 대변은 굳어져 보기가 어렵고 오줌은 자주 누어 간직하여 쌓아둘 것이 없게 된다. 이때 음혈(陰血)을 자양(滋養)하여 양화(陽火)가 타오르지 않게 하면 폐금이 잘 작용하고[淸化] 비토(脾土)가 튼튼해져 진액을 잘 돌리게 되니, 장(腸)이 윤택해져 [대변이] 저절로 나오게 된다. 그런데 비약환을 열이 심하면서 기가 실(實)한 데 쓰거나 서북인처럼 튼튼한[壯實] 사람에게 쓰면 부작용이 없어 아주 좋다. 그러나 만약 동남쪽 사람이나 열이 비록 심하지만 기혈이 튼튼하지 못한 사람에게 쓰면 비는 더욱 약해지고 장은 더욱 마르게 된다. 그러므로 반드시 서북쪽 사람들은 뭉친 것을 풀어주는 것을 위주로 하고, 동남쪽 사람들은 마른 것을 적셔주어야 효과가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고 하였다(단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