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변법

도변법

[ 導便法 ]

諸大便不通, 老人虛人不可用藥者, 用蜜熬, 入皂角末少許, 捻作錠子, 納肛門, 卽通[丹心]1).

대변이 나오지 않는데, 노인이거나 허약한 사람이라서 약을 쓸 수 없는 여러 경우에는 꿀을 끓여 조각가루를 조금 넣고 손으로 비벼서 납작한 알약[錠子]을 만들어, 항문에 넣으면 대변이 바로 나온다(『단계심법부여』).

○ 蜜煎導法. 取蜜七合, 微火煎如飴, 捻作錠如棗核樣, 納穀道中, 用手按住, 欲大便時去之[仲景].

○ 밀전도법[꿀 달인 것으로 대변을 나오게 하는 방법]. 꿀 일곱 홉을 약한 불에 엿처럼 졸여 손으로 비벼 대추씨만 하게 납작한 알약을 만들어 항문에 넣고 손으로 누르고 있다가 대변을 보려고 하면 손을 뗀다(중경).

○ 治大便不通. 取大猪膽一箇瀉汁, 和醋少許, 灌入穀道中, 須臾大便自通[仲景]2).

○ 대변이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큰 돼지 쓸개 한 개에서 짜낸 즙에 식초를 조금 넣고 항문 속에 넣으면 잠시 후에 대변이 저절로 나온다(중경).

○ 蜜兌3)法. 治大便不通. 蜜三合, 入猪膽汁兩枚, 煎如飴候凝, 捻作小指頭大, 沈冷水中, 取納肛門, 立通. 一方, 入皂角末和勻作錠, 尤好. 入薄荷末亦佳[得效]4).

○ 밀태법[꿀로 대변을 통하게 하는 방법]. 대변이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꿀 세 홉에 돼지 쓸개 두 개분의 즙을 넣고 엿처럼 엉기도록 고아, 이것을 비벼서 새끼손가락 끝마디만 한 크기로 만든 다음 찬물에 담갔다가 항문에 넣으면 대변이 바로 나온다. 다른 처방에서는 조각가루를 넣고 골고루 섞어서 납작한 알약을 만드는데, 더욱 좋다. 박하가루를 넣어도 좋다(『세의득효방』).

○ 熏方. 治大便不通. 皂角, 用椀燒置桶內, 熏下部, 自通[得效]5).

○ 훈방[약을 태워 연기를 쏘이는 방법]. 대변이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조각을 사발에 담아 태운 다음 나무통 속에 옮겨놓고 항문에 연기를 쬐면 대변이 저절로 나온다(『세의득효방』).

○ 蜜導法. 火煉蜜稠厚黃色, 傾入冷水中, 急捻如指大, 隨用 皂角末麝香共爲衣, 將油塗抹大腸內, 納入穀道, 大便卽通[回春]6).

○ 밀도법[꿀로 대변을 나오게 하는 방법]. 꿀을 걸쭉하고 진한 누런빛이 나도록 졸여서 찬물에 쏟은 다음 빨리 비벼서 손가락 크기만 하게 만들어 조각가루와 사향으로 옷을 입힌다. 항문 속에 기름을 바르고 이것을 넣으면 대변이 곧 나온다(『만병회춘』).

○ 猪膽汁導法. 猪膽一箇, 傾去汁少許, 入醋在內, 用竹管相接, 套入穀道中, 以手指撚之, 令膽汁直射入內, 少時卽通[回春]7).

○ 저담즙도법[돼지 쓸개즙으로 대변을 나오게 하는 방법]. 돼지 쓸개 한 개를 즙을 조금 쏟아버리고 그만큼의 식초를 속에 넣는다. 대나무 대롱을 쓸개에 꽂아 [다른 한쪽을] 항문에 집어넣고 손가락으로 쓸개를 짜서 담즙을 항문 속으로 직접 들어가게 하면 잠시 후 대변이 나온다(『만병회춘』).

○ 香油導法. 用竹管蘸葱汁, 深入大腸內, 以香油一半溫水一半, 同入猪尿脬內, 撚入竹管, 將病人倒放, 脚向上, 半時立通[回春]8).

○ 향유도법[참기름으로 대변을 나오게 하는 방법]. 대나무 대롱에 파즙을 묻혀 항문 속에 깊숙이 넣는다. 참기름과 따뜻한 물을 절반씩 섞어서 돼지 오줌통 속에 넣고 [오줌통의 액체를] 대롱에 짜넣는데, 환자를 물구나무세워 다리를 위로 올리게 한다. 그러면 한 시간쯤 지나 대변이 바로 나온다(『만병회춘』).

○ 大便不通多日, 百方不效, 令人口含香油, 以小竹筒一箇, 套入肛門, 吹油入肛內, 病者自覺其油如蚯蚓漸漸上行, 片時下黑糞而安[正傳]9). ○ 俗方以淸醬香油相和, 灌肛內卽通. 或以生桔梗浸油醬, 挿入肛內, 亦通. ○ 蜜導, 非皂角則不通[入門].

○ 대변이 오랫동안 나오지 않아 여러 가지 방법을 썼으나 효과가 없을 때는 다른 사람이 입에 참기름을 머금고 있다가, 작은 대나무 대롱을 [환자의] 항문에 꽂은 다음 항문 속으로 참기름을 뿜어넣는다. 그러면 환자는 그 기름이 마치 지렁이가 점점 올라오는 것처럼 느끼게 되는데, 잠시 후 검은 대변이 나오고 낫는다(『의학정전』). ○ 민간에서 쓰는 처방으로 간장[淸醬]과 참기름을 섞어 항문에 넣으면 대변이 나온다. 또는 생도라지를 참기름이나 간장에 담갔다가 항문에 넣어도 대변이 나온다. ○ 밀도법을 할 때 조각을 쓰지 않으면 대변이 나오지 않는다(『의학입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