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소

단소

[ 短簫 ]

요약 가로로 잡고 부는 종적(縱笛)의 일종.

퉁소처럼 생겼으나 그 길이가 짧은 단소의 길이는 약 47㎝이다. 짚은 구멍으로 앞에 4개가 있고, 뒤에 1개가 있다. 소리는 크지 않으나 음색이 맑고 깨끗하다. 죽부(竹部) 또는 공명악기(空鳴樂器, aerophone)에 드는 단소는 통소처럼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종적에 속한다.

관악기는 『악학궤범』(樂學軌範 1493)에 나오지 않아 그 기원을 알 수가 없지만, 함화진(咸和鎭)은 그의 『조선음악소사』(朝鮮音樂小史)에서 단소가 청(淸)나라에서 들어왔다고 하였다. 현재의 단소는 향피리처럼 향악 연주에 알맞게 제작됐기 때문에, "영산회상"("군악" 제외)이나 "자진한잎" 같은 관현합주에, 또는 가곡·가사·시조의 노래 반주에 쓰이지만, 정재반주나 대풍류에는 사용되지 않는다. 이 관악기는 생황(笙簧) 또는 양금(洋琴)과 함께 2중주로 연주된다. 이때 단소는 다른 악기에서 내기 어려운 지속음과 많은 장식음을 주선율에 첨가해줌으로써, 2중주를 멋지게 이끌어 간다.

단소를 연주하는 국립국악원의 악사(『한국악기』)

단소를 연주하는 국립국악원의 악사(『한국악기』)

단소 손 짚는 법(『國樂大事典』)

단소 손 짚는 법(『國樂大事典』)

오죽(烏竹)이나 황죽으로 제작된 현재의 단소에는 4개의 지공이 앞쪽에 있고, 뒤쪽에는 한 개의 지공이 뚫렸다. 단소에는 청공(淸孔)이 없을 뿐이므로, 이 관악기는 퉁소의 축소형인 셈이다. 평취(平吹)할 경우 단소의 음역은 협종(夾鍾)에서 청태주(淸太簇)까지이다. 역취(力吹) 때의 음역은 청협종(淸夾鍾)에서 청중려(淸仲呂)까지이다.

참고문헌

  • 『한국음악용어론』 송방송, 권2.548쪽
  • 『民俗藝術事典』, 서울: 한국문화예술진흥원, 1979년, 92쪽
  • 『韓國樂器』 송혜진 글 강운구 사진, 서울: 열화당, 2001년, 230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