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악

군악

[ 軍樂 ]

요약 ① 조선후기 노래의 한 곡명.
② 현행 영산회상(靈山會相)의 한 곡명.
③ 행악(行樂)의 한 곡명.
④ 경기잡가(京畿雜歌)의 한 곡명.
⑤ 서울 지방 무악(巫樂)의 한 곡명.
⑥ 국악예술학교(國樂藝術學校)의 교재에 나오는 "영산회상"(靈山會相) 줄풍류의 한 곡명.

① 조선후기 노래의 한 곡명. 『』(靑丘永言)에 전하는 군악은 이렇다.

"오날도 하섬섬 imagefont니 이나 imagefont여 보imagefont 노오나 너니나로 노오오 나니로 나니로 나이너로 나니로 이너이 나니나로 노오오 너니너로 나로나리ㅇ 나노나노 나니나로 노나니나로 나가소 나가소 imagefontimagefont가소 imagefontimagefont가면 imagefont 못살가 ··· 만첩청산(萬疊靑山)을 도석러 가셔 크다라imagefont 고양남들 이리로 imagefont고 저리로 imagefont어 제 홀노 imagefontimagefontimagefont 각씨(閣氏)네 이리imagefontimagefontimagefont 못 살냐(은 上同)."

② 현행 (靈山會相)의 한 곡명. "현악영산회상"(絃樂靈山會相) 곧 ""(重光之曲)의 경우 군악은 아홉째 곡명이다. ""(管樂靈山會相)인 "표정만방지곡"(表正萬方之曲)과 ""(平調會相)인 ""(柳初新之曲)에서는 "군악"이 여덟째 곡명이고, ""(千年萬歲)의 경우 여섯 번째 곡명이다. 네 장으로 구성된 군악은 12박 한 장단의 총 48장단으로 구성됐다. 1장의 셋째 장단부터 조(調)가 바뀐다. 3장의 32장단부터 41장단까지의 부분을 (勸馬聲)이라고 부른다. "절화"(折花)라고 하는 군악은 한 장단이 더 첨가되어 총 49장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③ (行樂)의 한 곡명. 조선후기 (細樂手)의 전통을 전승한 ""(別羽調打令)은 에 전하는 궁중행악(宮中行樂)의 한 곡명이다.

④ (京畿雜歌)의 한 곡명. ""(小春香歌)와 ""(竹枝詞) 사이에 불리는 군악의 가사는 이렇다.

"오늘도 하 심심하니, 노오나 너리나로, 노오 나너로 나너로, 노오오 너니너로구나. 너에 나노나 노나니나로 노나니 나노라. 가소 가소 자네 가소. 자네 가자사 네 못살까. ··· 운운."

⑤ 서울 지방 (巫樂)의 한 곡명. 군악(軍樂)을 포함해 서울굿에서 연주되는 악곡은 "세면도드"·""·""(별칭 "")·""·"자진 굿거리"·""·"노래가락"·""(일명 "당악")·""·"길군악"·"별우조타령"·"" 등이다.

⑥ (國樂藝術學校)의 교재에 나오는 "영산회상"(靈山會相) 의 한 곡명. 이 곡은 ""(本靈山: 17각)·""(中靈山: 28각)·""(細靈山: 18각)·"가락(伽樂)도리"(15각)·""(上絃: 26각)·"잔도도리"(85각)·"하현"(下絃: 26각)·""(念佛: 51각)·"타령"(打令: 32각)·"군악"(軍樂: 48각); 뒤풍류(총 142각): "계면"(界面: 43각)·""(兩淸: 55각)·""(羽調: 44각)로 구성됐다고 『池瑛熙民俗音樂研究資料集』에 나온다.

참고문헌

  • 『한국음악용어론』 송방송, 권1.345쪽
  • 『증보한국음악통사』 송방송, 서울: 민속원, 2007년, 378쪽
  • 『靑丘永言』, 183쪽
  • 『池瑛熙民俗音樂研究資料集』 成錦鳶 편, 서울: 민속원, 2000년, 53~78, 249~74, 277~300쪽

관련이미지

유예지 / 군악타령

유예지 / 군악타령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