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체

과체

[ 瓜蒂 ]

분류 과학기술/의약 > 약재설명

독성, 한寒

과체 본문 이미지 1
과체 본문 이미지 2

다른이름 甛瓜蒂(첨과체), 瓜丁(과정), 苦丁香(고정향)
약맛 고(苦)
귀경 비(脾) 위(胃)
주치 喉痺, 風癎, 喘息, 纏喉風, 癲癎, 胃脘脹痛, 誤食毒物, 噯腐, 身面四肢浮腫, 濕熱黃疸, 煩悶不食, 發狂
약용부위 열매의 꼭지

금기

體虛者, 失血者, 心臟疾患者 및 上部에 實邪가 없는 者는 服用을 忌한다.
중독이 극렬하여 嘔吐가 不止하면 麝香 0.1~0.15g을 따뜻한 물에 타서 먹으면 풀린다.
본품을 많이 사용하면 泄瀉하며, 氣虛證과 姙娠婦도 사용해서는 안 된다.
服藥한 후에 沙糖 한 덩어리를 먹으면 弱力이 증강된다.

효능

祛濕退黃, 涌吐痰食

문헌근거(본초강목)

주치증상
: 水腫(수종), 전신부종을 치료한다. 水氣(수기)를 배출시키고 蠱毒(고독)을 없애며 咳嗽(해수)와 上氣(상기)되는 증상을 치료한다. 과일을 먹고 병이 胸腹部(흉복부)에 생긴 경우에 체한 것을 모두 토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 콧 속에 군살이 돋은 것을 치료하고 黃疸(황달)을 치료한다.
池大明(지대명): 코막힘, 눈앞이 캄캄한 증상, 가래를 토하는 증상을 치료한다.
李時珍(이시진): 風熱(풍열)로 인하여 생성된 痰(담)을 토하게 하여 제거하고, 눈앞이 캄캄하고 어찔어찔하며 머리가 아픈 증상, 간질발작, 인후가 붓고 호흡이 힘든 증상을 치료한다. 머리와 눈에 濕邪(습사)가 침범한 증상을 치료한다.
王好古(왕호고): 麝香(사향), 細辛(세신)을 함께 섞어 사용하면 냄새를 맡지 못하는 증상을 치료한다.

약물이름의 기원
참외꼭지이다. 이명으로는 瓜丁(과정), 苦丁香이 있다. 참외는 甛瓜(첨과)라고 하며 이명으로는 甘瓜(감과), 果瓜(과과)가 있다.

李時珍(이시진): 瓜(과)는 篆書(전서) 문자로써 오이가 덩굴에 주렁주렁 달린 형상을 뜻하는 글자이다. 甛瓜(첨과)라는 것은 맛이 다른 오이 보다 달기 때문에 오직 이것만 甘(감)이나 甛(첨)이란 명칭이 붙게 되었다. 예전에는 채소류로 분류하였으나 오류이다. 王禎(왕정)에 의하면 瓜類(과류)는 모두 같은 것이 아니며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는데, 과실로 분류되는 것을 果瓜(과과)라고 하며 甛瓜(첨과) 또는 西瓜(서과)가 그것이다. 채소로 분류되는 것은 菜果(채과)라고 하고 胡瓜(호과), 越瓜(월과)가 해당된다. 나무에 달린 것을 果(과), 땅에 있는 것을 蓏(라)라고 한다. 큰 것을 瓜(과)라고 하고 작은 것을 瓞(질)이라고 한다. 그 씨앗을 imagefont(렴)이라고 하고 과육을 瓤(양, 속)이라고 한다. 그 꽃받침을 環(환)이라고 하는데, 꽃이 떨어진 자리를 일컫는다. 蒂(체, 꼭지)를 疐(체)라고 하는데, 열매가 덩굴에 매달린 부분을 뜻한다. 에서는 天子(천자)가 瓜(과)를 깎아서 瓜(과)로 제사를 지낸다고 하였는데, 바로 果瓜(과과)를 지칭하는 것이다. 본초서적에서 瓜蒂(과체)라고 하는 것은 바로 참외의 꼭지를 말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