견우자

견우자

[ 牽牛子 ]

분류 과학기술/의약 > 약재설명

독성, 한寒

견우자 본문 이미지 1
견우자 본문 이미지 2
견우자 본문 이미지 3

다른이름 狗耳草(구이초), 白牽牛(백견우), 白丑(백축), 盆甑草(분증초), 草金鈴(초금령), 黑牽牛(흑견우), 黑丑(흑축)
약맛 고(苦) 신(辛)
귀경 폐(肺) 신(腎) 소장(小腸) 대장(大腸)
주치 咳逆喘滿, 蟲積腹痛, 二便不利, 水腫, 水飮停蓄, 腹水, 大便秘結, 多種의 腸道蟲積, 肝硬化腹水, 脚氣
약용부위 종자

금기

濕熱이 血分에 있는 者와 氣虛者, 脾胃虛弱으로 痞滿이 된 者는 服用을 忌한다.

효능

祛痰逐飮, 瀉水消腫, 瀉下通便, 殺蟲攻積

문헌근거(본초강목)

주치증상
: 기를 아래로 내리고 다리가 붓는 증상을 치료하며 風邪(풍사)의 침범으로 인한 증상을 치료하고 소변을 시원하게 한다.
甄權(견권): 복부에 기가 뭉쳐서 덩어리가 만져지는 경우를 치료하고 대소변을 시원하게 하며 허약해서 생긴 부종을 빼고 胎兒(태아)를 배출시킨다.
池大明(지대명): 腰痛(요통)을 치료하고 膿(농)을 제거하고 약물의 독성을 제거하고 모든 울체된 증상을 치료한다.
孟詵(맹선): 山茱萸(산수유)와 함께 복용하면 水氣(수기)로 인한 병을 치료한다.
李杲(이고): 氣分(기분)의 濕熱(습열)을 제거하고 三焦(삼초)가 울결된 증상을 치료한다.
李時珍(이시진): 痰(담)을 제거하고 大腸(대장)을 잘 통하게 하여 氣(기)와 風(풍)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변비를 치료하며 殺蟲(살충)작용을 하고 命門(명문)의 기능이 발휘되도록 한다.

약물이름의 기원
이명으로는 黑丑(흑축), 草金鈴(초금령), 盆甑草(분증초), 狗耳草(구이초)가 있다.

陶弘景(도홍경): 이 약이 들과 밭에서 자라기 시작하면 사람이 소를 끌고 다닐 때 약이 필요 없어지기 때문에 이러한 명칭이 생겼다.
李時珍(이시진): 요즘 사람들은 은어로 黑丑(흑축)이라고도 하며, 흰색은 白丑(백축)이라고 하는데 이것은 아마도 丑(축)이 소를 뜻하기 때문일 것이다. 金鈴(금령)이라는 명칭은 씨앗의 형태에 따라 명명한 것이고, 盆甑(분증)과 狗耳(구이)는 꽃잎의 모양에 따라 명명한 것이다. 段成式(단성식)의 에서는 盆甑草(분증초)의 넝쿨은 薯蕷(서여)와 비슷하고 열매를 맺은 뒤 떨어지는데, 꽃 모양이 깔때기와 비슷하기 때문에 생긴 이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