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석병용기

금석병용기

[ 金石竝用期 ]

선사시대 시대구분 가운데 하나로서 신석기시대와 청동기시대 사이에 존재하는 시기이다. 금석병용기를 쇠붙이와 돌을 병용하던 시기라고 이해한다면 그런 시기는 세계적으로 여러 곳에서 찾아진다. 그러나 이 말의 어원과 근래의 쓰임새, 그리고 한국에서 받아들이는 의미는 약간씩 다르다.

금석병용기는 영어로 ‘(a)eneolithic’, 이탈리아어로는 ‘enelitico’ 이다. 이 말의 어원은 라틴어에서 구리나 청동을 의미하는 ‘aeneus’ 와 그리스어에서 돌을 의미하는 ‘lithos’를 합성하여 만든 용어이다. 그러나 그리스어에서 구리나 청동을 의미하는 ‘chalkos’ 와 그리스어 ‘lithos’를 합성하여 ‘chalcolithic’ 라는 용어가 따로 존재한다. 양자는 동의어라고 할 수 있으나 오늘날 더 빈번하게 쓰이는 용어는 ‘chalcolithic’ 이다. 그리고 우리말의 번역은 금석병용시대가 아니라 ‘동석기시대’가 되어야 할 것이다.

유럽에서 동석기시대의 시대구분은 러시아 남부지역, 발칸반도, 보헤미아지방, 다뉴브강 중하류, 남부 프랑스, 피레네 산맥지역, 그리스, 이탈리아 등 북부 유럽을 제외한 동부, 남부유럽 거의 전역에 적용되며 신석기시대 끝무렵에서 청동기시대로 넘어가는 과도적인 단계로 보고있다. 발칸반도를 예로 들면 유럽에서 가장 이른 기원전 5000년 무렵에 금속제련술이 나타나는데 이 시기를 구리시대 또는 동석기시대(Copper Age or Chalcolithic Age)로 부른다. 아직 가장 주요한 도구재료는 돌이며 적은 양의 금속이 실제적 쓰임새 보다는 지위나 상징적 의미로 사용되었기 때문이다. 근동지방에서 동석기시대에 해당하는 문화는 할라프(Halaf)문화와 우바이드(Ubaid)문화이다.

한편 신석기시대와 청동기시대 사이에 있는 동석기시대 외에, 세계적으로 청동기철기를 함께 사용했던 지역도 많다. 일본의 야요이시대(彌生時代)와 이집트 및 북부지역을 제외한 대부분의 아프리카 지역에서는 처음 경험하는 금속이 철(鐵)이다. 아메리카 대륙 역시 구석기-신석기-청동기-철기시대의 시대구분과는 거리가 멀다. 이러한 양상들이 예외적이라고 하기보다는 기존의 톰젠(Thomsen)식 분류기준이 전세계적인 문화발달과정을 다 포괄할 수 없는데서 오는 자연스런 현상이라고 볼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일제강점기에 일본의 관학자들이 김해 회현리 조개무지발굴한 뒤 금석병용기라는 개념을 사용하기 시작하였는데 신석기시대와 청동기시대의 과도적 의미가 아니라 돌과 청동기 나아가 철기까지 포괄되는 시기였다. 이 금석병용시대는 전체로 조선의 석기시대라는 큰 틀 안에 포함되는 것이다. 결국 조선의 석기시대는 그 안에서 돌과 청동, 철을 같이 쓰는 시기가 된 것이다. 이러한 시기구분이 조선의 선사시대가 파행적이고 정체되어 있었음을 강조하는 식민사관의 적용 때문임은 주지의 사실이다. 광복 후 남북한의 학자들은 이러한 개념의 금석병용기를 극복하고 청동기시대의 확립을 위해 부단히 노력하였으며 오늘날은 일제가 적용한 의미의 금석병용기를 의식하기조차 어렵다. 다만 동석기시대 개념의 입장에서, 청동기가 나오지 않거나 장식용 등 극히 일부의 것만 나오는 초기 민무늬토기사회에 대해서는 참고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신숙정)

참고문헌

  • 조선원시고고학(도유호, 1960년)
  • 朝鮮의 石器時代(藤田亮策, 朝鮮考古學硏究, 1948년)
  • 한국 고고학의 방법과 이론(최성락, 학연출판사, 1998년)

참조어

동석기시대(銅石器時代)