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유동

수유동

[ Suyu-dong , 水踰洞 ]

요약 서울특별시 강북구에 있는 법정동.
4.19혁명 기념비

4.19혁명 기념비

위치 서울특별시 강북구
면적(㎢) 7.67㎢
행정구분 법정동
문화재 본원정사 목 보살좌상(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사릉 석물 채석장 터(서울특별시 기념물), 수유동 분청사기 가마터(서울특별시 기념물), 송계별업 터(서울특별시 문화재자료), 서울 김창숙 묘소(국가등록문화재), 서울 신익희 묘소(국가등록문화재), 서울 이시영 묘소(국가등록문화재), 서울 이준 묘소(국가등록문화재)

목차

  1. 역사
  2. 현황

서울특별시 강북구에 있는 법정동으로, 행정동인 수유제1동, 수유제2동, 수유제3동, 우이동(일부), 인수동이 관할한다. 북쪽으로는 우이동·도봉구 쌍문동, 동쪽으로는 번동·도봉구 창동, 서쪽으로는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북한동, 남쪽으로는 미아동·성북구 정릉동과 접한다. 전체 면적은 7.67㎢로 강북구 전체 면적의 32.4%를 차지한다.

역사

조선시대 초기에는 한성부 동부 숭신방(성외)에 속한 지역이었다. 고종 때에는 한성부 동부 숭신방 수유촌계・가오리계에 속했고, 갑오개혁 이후 한성부 동서(東署) 숭신방 동소문외계의 대수유리・소수유리・가오리・화계동이 되었다. 1911년 4월 1일 경기도 경성부 숭신면 대수유리가 되었다가, 1914년 4월 1일 일제의 행정구역 개편으로 경기도 고양군 숭인면 수유리로 개편되었다. 광복 후 1949년 8월 13일 서울시 성북구에 편입되어 서울시 성북구 수유리가 되었고, 1950년 3월 15일 수유리에서 수유동으로 개칭되었다. 1973년 7월 1일 도봉구의 신설로 그 관할이 되었고, 1995년 3월 1일 강북구의 신설로 강북구에 편입되어 오늘날의 서울시 강북구 수유동이 되었다.

수유(水:물 수, 踰:넘을 유)라는 지명은 순우리말 지명인 ‘무너미’를 한자로 표기한 것이다. ‘무너미’는 북한산 골짜기에서 흘러내려온 물이 마을로 넘쳤다는 데에서 유래했다.

현황

서쪽은 북한산 국립공원 일대로 산지가 동의 상당 부분을 차지한다. 덕장봉, 복덕봉, 문필봉으로 이어지는 능선이 경기도 및 성북구와의 경계를 이룬다. 산지에서 모인 물이 가오천, 대동천이 되어 흐르며, 북쪽으로는 중랑천의 지류인 우이천이 흐른다.
북쪽에는 4.19혁명 희생자 472위가 안장된 국립4.19민주묘지가 위치한다. 주변에는 국립통일교육원, 근현대사기념관 등이 소재하며, 419카페거리가 조성되어 있다. 또한 인근에는 마을공동체로 알려진 삼각산재미난마을이 있으며, 대안학교인 삼각산재미난학교를 비롯하여 카페, 극단, 작업장 등을 공동운영 중이다. 한편, 북한산 자락에는 김도연(金度演, 1894~1967), 김병로(金炳魯, 1887~1964), 김창숙(金昌淑, 1879~1962), 신숙(剛齋 申肅, 1885~1967), 신익희(申翼熙, 1894~1956) 선생, 유림(柳林, 1898~1961), 이시영(李始榮, 1869~1953), 이준(李儁, 1859~1907) 열사 등 여러 독립애국지사의 묘소들이 위치해 있다.

그 외에는 대부분 아파트 단지, 단독주택, 빌라 등이 밀집한 주거 지역이다. 동쪽으로 수유역 일대에는 업무용 빌딩, 오피스텔 등이 들어서 있고, 수유동먹자골목을 비롯한 각종 음식점이 밀집하여 상업 지역을 형성하고 있다.

노해로, 덕릉로, 도봉로, 삼각산로, 삼양로, 인수봉로, 한천로, 4.19로 등이 수유동을 지난다. 철도 시설로는 서울 지하철 4호선이 수유역을,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이 가오리역화계역을 지난다.

교육기관은 2023년 기준 고등학교 1개교(혜화여자고등학교), 중학교 4개교(강북중학교, 수유중학교, 인수중학교, 화계중학교), 초등학교 4개교(서울수유초등학교, 서울우이초등학교, 서울유현초등학교, 서울인수초등학교), 특수학교 2개교(서울정인학교, 한빛맹학교) 등이 있다.

주요 상업시설에는 수유재래시장, 수유전통시장, 수유중앙시장, 백년시장, 어진이골목시장, 우이시장, 장미원골목시장 등이 있다. 공공기관 및 공공시설로는 강북구청, 강북구의회, 수유1동주민센터, 수유2동주민센터, 우이동주민센터, 인수동주민센터, 서울수유3동우체국, 강북구도시관리공단, 서울북부준법지원센터, 국립재활원 등이 있다.

문화재에는 본원정사 목 보살좌상(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사릉 석물 채석장 터(서울특별시 기념물), 수유동 분청사기 가마터(서울특별시 기념물), 송계별업 터(서울특별시 문화재자료), 서울 김창숙 묘소(국가등록문화재), 서울 신익희 묘소(국가등록문화재), 서울 이시영 묘소(국가등록문화재), 서울 이준 묘소(국가등록문화재) 등이 있으며, 조선 중기 신월선사(信月禪師)가 창건한 화계사(華溪寺)에는 사인비구 제작 동종(보물),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보물), 대웅전(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등을 비롯하여 다수의 문화재가 소장되어 있다. 한편, 국립 4.19민주묘지, 삼각산재미난마을, 화계사 대방, 문익환 가옥(통일의 집), 윤극영 가옥, 초가집(한식당) 등이 서울미래유산으로 지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