숭인동

숭인동

[ Sungin-dong , 崇仁洞 ]

요약 서울특별시 종로구에 있는 법정동.
수도학원

수도학원

위치 서울특별시 종로구
면적(㎢) 0.59㎢
행정구분 법정동
문화재 서울 동관왕묘(보물), 서울 청룡사 석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보물), 서울 청룡사 비로자나불 삼신괘불도(보물), 정업원 터(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동관왕묘 소장유물 일괄(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인구(명) 15,396명 (2023년)
가구수(세대) 9,386세대 (2023년)

목차

  1. 역사
  2. 현황

서울특별시 종로구에 있는 법정동으로, 행정동인 숭인1동과 숭인2동이 관할한다. 북쪽으로는 성북구 보문동3가·보문동6가·보문동7가, 동쪽으로는 동대문구 신설동, 서쪽으로는 창신동과 접하고, 남쪽으로는 청계천을 사이에 두고 중구 황학동과 마주한다. 전체 면적은 0.59㎢로 종로구 전체 면적의 2.46%를 차지하며, 2023년 3월 기준 전체 인구는 15,396명이고, 9,386세대가 거주하고 있다.  

역사

조선시대 초기에는 한성부 동부 성외(城外)의 숭신방(崇信坊)과 인창방(仁昌坊)에 속한 지역이었다. 영조 때에는 숭신방(성외)의 숭신방계와 인창방(성외)의 인창방계였고, 고종 때에는 숭신방(성외)의 숭신동계와 인창방(성외)의 인창동계에 속했다. 갑오개혁 이후에는 숭신방(성외) 동문외계의 영미동, 미전동, 신설동, 남교와 인창방(성외) 동문외계의 남교, 장거리, 동묘동 지역이 되었다. 1910년 10월 1일 한성부가 경성부로 바뀌면서 경기도의 관할이 되었고, 1914년 4월 1일 일제의 행정구역 개편으로 영미동, 미전동, 장거리, 신설동, 동묘동과 남교의 일부 지역이 통합되어 숭인동(崇仁洞)으로 개편되었다. 1936년 4월 1일 경성부 숭인정(崇仁町)으로 개정되었으며, 1943년 6월 10일 동대문구의 신설로 경성부 동대문구 숭인정이 되었다. 광복 후인 1946년 9월 28일 경기도 관할에서 분리되어 서울시로 승격되었고, 같은 해 10월 1일 숭인정에서 숭인동으로 개칭되었으며, 1975년 10월 1일 관할구역이 종로구로 변경되어 서울시 종로구 숭인동이 되었다.

숭인(崇仁)이라는 지명은 조선 초기 한성부 동부에 속하는 숭신방(崇信坊)의 ‘숭’자와 인창방(仁昌坊)의 ‘인(仁)’자를 합한 데서 유래하였다.

현황

동서로 지나는 종로를 중심으로 북쪽 지역은 대부분 아파트와 빌라 등이 밀집한 주거 지역이고 종로변과 남쪽 지역은 오피스텔, 호텔, 신설동 종합시장 등을 비롯한 상업 지역이 분포한다.

숭인동에는 숭인근린공원과 동묘공원이 소재한다. 숭인근린공원은 동망봉(東望峰) 일대에 조성된 공원으로, 조선시대 제6대 국왕 단종(端宗, 1441~1457)의 정비인 정순왕후(定順王后, 1440~1521)가 단종이 유배된 후 인근의 청룡사로 출가했고, 매일 동망봉에 올라 동쪽인 영월을 바라보며 단종의 명복을 빌었다고 전해진다. 청룡사(靑龍寺)는 922년(고려 태조 5)에 창건되었으며 주로 왕실과 양반가의 여인들이 출가하여 수행을 하던 사찰로, 1771년(영조 47)에 정업원(淨業院)으로 칭해지게 되었다. 

동묘공원 내에는 동묘(東廟)가 있다. 정식 명칭은 동관왕묘(東關王廟)로 중국 촉나라의 장수 관우(關羽, 160~220)를 모신 사당이다. 동관왕묘는 임진왜란 때 조선을 도와준 명나라의 요청으로 1601년(선조 34)에 준공되었다. 동묘공원 앞의 명소인 동묘 벼룩시장은 1980년대 말 생겨났으며 중고 의류, 잡화, 가전제품에 이르기까지 각종 희귀한 물건들이 모이는 곳이다.

동쪽으로 난계로, 서쪽으로 지봉로, 남쪽으로 청계천로가 접하고 있으며, 동서로 종로가 지난다. 철도 시설로는 수도권 전철 1호선이 동묘앞역신설동역(출구)을, 6호선이 동묘앞역과 창신역을 지나며,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이 신설동역을 경유한다.  

교육기관은 2023년 기준 고등학교 1개교(서울다솜관광고등학교), 각종학교(종로산업정보학교) 등이 있다. 

공공기관으로는 숭인제1동주민센터, 숭인제2동주민센터, 동묘파출소, 서울숭인동우체국, 숭인119안전센터 등이 있다.

문화재에는 서울 동관왕묘(보물), 서울 청룡사 석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보물), 서울 청룡사 비로자나불 삼신괘불도(보물), 정업원 터(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동관왕묘 소장유물 일괄(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등이 있다. 청룡사에는 이 외에도 여러 불교 문화재가 소장되어 있다. 

참조항목

종로구

카테고리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