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설동

신설동

[ Sinseol-dong , 新設洞 ]

요약 서울특별시 동대문구에 있는 법정동.
신설동

신설동

위치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면적(㎢) 0.34㎢
행정구분 법정동

목차

  1. 역사
  2. 현황

서울특별시 동대문구에 있는 법정동으로, 행정동인 용신동이 용두동과 함께 신설동을 관할한다. 북쪽으로는 성북구 안암동4가·보문동7가, 동쪽으로는 용두동, 서쪽으로는 종로구 숭인동, 남쪽으로는 성동구 상왕십리동과 접한다. 전체 면적은 0.34㎢로 동대문구 전체 면적의 2.4%를 차지한다.

역사

조선시대에는 한성부 동부 숭신방(성외)에 속한 지역이었다. 영조 때에는 한성부 동부 숭신방(성외) 신설계에 속했고, 갑오개혁 이후 숭신방(성외) 동소문외계 신설동이 되었다. 1914년 4월 1일 일제의 행정구역 개편으로 경기도 고양군 숭인면 신설리로 개편되었다. 1936년 4월 1일 경성부에 편입되어 신설정으로 개칭되었고, 1943년 4월 1일 구(區)제도의 실시로 동대문구의 관할이 되었다. 1946년 9월 28일 경기도 관할에서 분리되어 서울시로 승격되었으며, 같은 해 10월 1일 신설정에서 신설동으로 개칭되어 오늘날의 서울시 동대문구 신설동이 되었다.

신설(新:새 신, 設:세울 설)이라는 지명은 조선시대 숭신방에 새로 설치한 마을이라는 의미에서 유래하였으며, 새말 또는 신리(新里)라고도 불렸다.

현황

동쪽으로는 청계천의 지류인 성북천이, 남쪽으로는 중랑천의 지류인 청계천이 흐르며 성북천교 부근에서 서로 합류한다. 청계천변에는 시민들의 소망과 염원을 담은 소망의 벽이 조성되어 있다. 우산각어린이공원 인근의 서울풍물시장은 다양한 먹거리와 함께 중고제품, 골동품, 지역특산품 등을 판매하는 전문 시장으로 청계천 복원으로 황학동 일대의 골동품 시장이 정리되면서 조성되었으며 2008년에 개장하였다. 또한, 신설동역교차로와 왕산로 일대는 지하철 3개 노선이 만나는 곳으로 빌딩과 오피스텔 등이 들어서 있고 상권을 이루고 있다. 한편, 신설동은 동대문 의류산업의 배후지역으로 의류제작에 사용되는 원단 및 부자재 관련 업체와 창고 등이 곳곳에 분포하고 있다.

서쪽으로 난계로·보문로와 접하고 있으며, 안암로, 왕산로, 천호대로, 청계천로, 하정로, 한빛로 등이 신설동을 지난다. 철도 시설에는 수도권 전철 1호선, 서울 지하철 2호선,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이 신설동역을 경유한다.

교육기관은 2023년 기준 고등학교 1개교(대광고등학교), 중학교 1개교(대광중학교) 등이 있다.

공공기관 및 공공시설에는 서울특별시120다산콜재단, 국민연금공단 동대문중랑지사, 한전KDN 강북지사, 한국마사회 동대문지사, 서울특별시교육청 교육자원봉사지원센터, 동대문우체국, 서울특별시교육청 동대문도서관, 영천학사 등이 있다.

서울풍물시장, 신설동2호선 비영업 승강장(구 신설동 유령역) 등이 서울미래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신설동 2호선 비영업 승강장은 1974년 지하철 1호선 건설 당시 만들어진 역사지만, 노선계획이 변경되면서 완공 직후 폐쇄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