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성록

일성록

[ Ilseongnok (Daily Records of the Royal Court and Important Officials) , 日省錄 ]

요약 1760년(영조 36)부터 1910년(융희 4)까지 약 150년간 조선의 역대 임금의 언동(言動)을 날마다 기록한 책.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지정되었다. 1973년 12월 31일 국보로 지정되었다.
일성록

일성록

지정종목 국보
지정일 1973년 12월 31일
소장 서울대학교 규장각
소재지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103호 동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신림동,서울대학교)
시대 조선
종류/분류 기록유산 / 전적류 / 필사본 / 등록류
크기 2,329책

1973년 12월 31일 국보로 지정되었다. 필사본으로 모두 2,329책이다. 규장각에서 편찬한 책으로, 서울대학교 규장각에 소장되어 있다.

정조가 세손(世孫)으로 있을 때인 1752년(영조 28)부터의 언행과 동정을 일기체로 적고, 그가 왕위에 오른 지 3년 후(1779)에 규장각을 설치하여 각신(閣臣)들로 하여금 왕이 조정에서 행한 갖가지 사실들을 기록하게 하였다. 이것을 자료로 하여 1783년부터 작성을 시작해 1785년 1월 국왕의 동정과 국정을 기록한 《일성록》이 처음으로 편찬되었다. 그 다음부터는 규장각의 책임관원에게 맡겨 이 편찬체제를 이어 나가게 하였는데, 현재는 1790년(정조 14)부터의 기록만 남아 있다.

증자(曾子)의 "하루 세 번 내 몸을 돌이켜 살폈다"는 말의 뜻을 살려 《일성록》이라 하였다 하며, 기사마다 표제를 붙이고 하교(下敎)·사륜비판(絲綸批判) 등 중요 사항은 전부를 수록하는 한편, 상주(上奏) 등은 간추려 기록하게 하였다. 또, 내용에 따라 하늘, 임금의 조상, 임금, 신하 등으로 구분하여 읽고 싶은 것을 찾고 가리기 편하게 하였다.

1827년(순조 27) 유본예(柳本藝)가 《일성록범례》를 만들어 내용을 이해하기 쉽도록 분류하였다. 천문류(天文類)·제향류(祭享類)·임어소견류(臨御召見類)·반사은전류(頒賜恩典類)·제배체해류(除拜遞解類)·소차류(疏箚類)·계사류(啓辭類)·초기서계별단류(草記書啓別單類)·장계류(狀啓類)· 과시류(科試類)·형옥류(刑獄類) 등이 그것이다.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와 더불어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연대기이며, 사료로서도 중요한 가치를 가지고 있다. 1982년부터 1996년까지 총 86책의 영인본으로 간행되었다. 그 내용과 형식의 독창성, 역사적 중요성을 인정받아 2011년 5월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되었다.

 

카테고리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