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 민주화운동 기록물

5·18 민주화운동 기록물

[ 五一八民主化運動記錄物 ]

요약 1980년 5월 18일에서 27일까지 전라남도 광주시(지금의 광주광역시)에서 군사정권의 부당한 독재에 항거하여 일어난 5·18 민주화운동에 관한 기록물들로, 2011년 5월 25일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었다.
국가 한국(Korea, South)
지정일 2011년 5월 25일
분류 세계기록유산

등재명은 '인권기록유산-1980년 5월 18일 군사정권에 대항해 광주에서 일어난 민주항쟁 관련 기록물'이다. 2010년 1월 광주 지역 인사들을 중심으로 구성된 '5·18 민주화운동 기록물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추진위원회'가 같은 해 3월 등재 신청서를 제출한 이후 보완과 수정을 거쳐 2011년 5월 24일 영국 맨체스터에서 열린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국제자문위원회(IAC)에서 등재를 권고하기로 결정하였고, 5월 25일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공식 발표하였다.

이 기록물은 ① 정부·전남도청·광주시청·광주경찰서 등 공공기관이 생산한 5·18 민주화운동 자료, ② 김대중 내란음모사건 자료와 군사법기관 재판 자료, ③ 시민들이 생산한 성명서·선언문·취재수첩과 시민들의 일기, ④ 사진 자료와 흑백필름, ⑤ 시민들의 기록과 증언, ⑥ 피해자들의 병원 치료기록, ⑦ 국회의 5·18 민주화운동 진상규명 회의록, ⑧ 국가의 피해자 보상 자료, ⑨ 미국의 5·18 관련 비밀해제 문서 등 총 9개 주제로 분류되어 있으며, 5·18 민주화운동의 발발과 진압 그리고 이후의 진상 규명과 보상 등의 과정을 편철 4271권 85만 8904페이지, 흑백필름과 사진 2017컷에 달하는 방대한 분량에 담고 있다.

이 기록물이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된 것은 5·18 민주화운동이 한국의 민주화는 물론 필리핀·태국·베트남 등 아시아 여러 나라의 민주화운동에 커다란 영향을 주었으며, 민주화 과정에서 실시한 진상 규명과 피해자 보상 사례 등도 여러 나라에 좋은 선례가 되었다는 점 등이 높이 평가받았기 때문이다. 유네스코의 심사 과정에서 극우 인사들이 5·18 민주화운동의 학살을 북한군의 소행이라고 주장하며 세계기록유산 등재 반대 청원서를 제출하기도 하였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이 기록물의 세계기록유산 등재는 한국이 보유한 세계기록유산 가운데 고문서가 아닌 현대사 자료로는 처음이라는 점, 국가유산청 등 정부기관이 아닌 민간기구의 주도로 등재에 성공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2011년 5월 세계기록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카테고리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