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벽

이벽

[ 李檗 ]

요약 조선시대 천주교 초기의 교도로서 한국 천주교회를 창설한 주역이다. 정약전, 정약용 형제와 함께 천진암에 모여 학문을 연마하였고 독학으로 천주교 교리를 익혀 신자가 되었다. 부친에 의해 가택연금되었다가 사망하였다.
광암 이벽선생 묘

광암 이벽선생 묘

출생-사망 1754 ~ 1785
본관 경주(慶州)
광암(曠菴)
본명 덕조(德祚) 또는 벽(檗)
활동분야 천주교
출생지 경기도 포천
주요저서 《성교요지(聖敎要旨)》

본관은 경주(慶州)이고 호는 광암(曠菴), 자는 덕조(德祚) 또는 벽(檗)이다. 천주교 신자이며 세례명은 세례자 요한이다. 1754년 경기도 포천의 기호학파 남인(南人) 집안에서 부친 이부만(李簿萬:1727~1817)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그의 집안은 대대로 문인이었으나 조부(祖父) 이달 때 부터 무과에 급제하여 무반 집안으로 유명해졌다. 이에 이벽의 형 이격(李格)과 남동생 이석(李晳)은 무과에 합격하여 황해병마절도사와 좌포장의 직책을 맡았다. 이벽은 신체가 건장하고 키가 8척에 이르고 힘은 장사였다고 전해진다. 그러나 이벽은 학문에 뜻을 두었으며 광주 마재에 사는 정약현(丁若鉉)을 자형으로 맞이한 후에는 그의 동생 정약전(丁若銓), 정약용(丁若鏞) 형제와 어울려 학문을 익혔다. 하지만 그는 과거에는 뜻을 두지않았고 뜻이 맞는 선비들과 어울려 학문을 연마하는 데만 노력했다.

1774년 충청도 덕산으로 이병휴(李秉休)를 찾아가 스승으로 모셨으며 1776년에는 성호(星湖) 이익(李瀷) 등과 함께 이병휴의 제자 녹암(鹿菴) 권철신(權哲身)을 스승으로 받들고 '녹암계'의 일원이 되었다. 정약전, 정약용 형제와는 1777년~1785년까지 천진암에 모여 토론하면서 학문 연구를 계속하였고, 1779년에는 녹암계 회원들의 강학에 서학서를 제시하고 천주교 교리를 강학의 토론 주제로 정하면서 녹암계의 인물들에게 천주교를 새로운 신앙으로 수용하도록 하는데 역할하였다. 이벽은 우리나라 최초의 천주교 신자로 알려져 있는데 그가 선교사가 없는 조선에서 독학으로 천주교를 받아들이고 자생적으로 조직을 키워나간 것은 매우 이례적인 것으로 받아들여진다. 이벽의 고조부인 이경상이 소현세자(昭顯世子)를 수행하여 북경을 다녀온 이후 그의 집안에는 서학과 천주교에 관련된 서적이 있었으며 그것들은 통해 이벽이 서학과 천주교를 자생적으로 익혀온 것으로 추측하기도 한다.

이벽은 이승훈을 중국 북경으로 보내 세례를 받게 하였으며 1784년 북경에서 세례를 받고 돌아온 이승훈(李承薰)에게 권일신(權日身), 정약용과 함께 세례를 받았다. 이는 조선에서 거행된 최초의 세례식으로서  '한국 천주교회의 창설' 로 간주된다. 이후 권일신(權日身)과 함께 전도부의 간부로 활약하였다. 1785년(정조 9) 이벽의 주도로 모인 신자들의 집회도중에 형조의 금리들에 적발되어 모두 형조로 압송되는 추조적발사건(秋曹摘發事件)이 발발하였다. 일부는 귀양을 가고 이벽은 배교를 강요당하게 되었으며 이에 부친 이부만은 철저하게 동료들과의 접촉을 막기 위해 그를 집에 연금시켰으며, 32세의 나이에 사망하였다. 포천 화현리의 선산에 묻혔다가 현재는 경기도 퇴촌의 천진암에 안장되어 있다.

그의  저서로 알려진《숭례의설(崇禮義說)》은 현존하지 않으며 《만천유고》의 잡고편에 수록된《성교요지》, 《천주 공경가(天主恭敬歌)》는 그의 저작임이 불분명하다. 단지 그의 학문적 동료였던 정약용의 《여유당전서》와《중용강의보(中庸講義補)》에 이벽의 학문을 높이 평가하는 내용이 일부 전할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