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진암

천진암

[ 天眞菴 ]

요약 한국 초기 가톨릭교 신자였던 이벽(李檗)·권철신 등이 최초로 가톨릭 교리를 강론하던 가톨릭교 성지.
천진암성지

천진암성지

1779년(정조 3) 학자 권철신(權哲身)은 경기 여주시 금사면(金沙面)에 있던 주어사(走魚寺)에서 학문을 연구하고 강의하던 중, 정약용(丁若鏞) 등과 함께 강학회(講學會)라는 학문강의 모임을 가졌다.

그후 장소를 천진암으로 옮겨 10여 일 동안 강학회를 계속하였는데, 이때 참석한 대표적인 사람은 권철신·정약용·이벽·정약전(丁若銓)·정약종(丁若鍾)·이승훈(李承薰) 등이었다. 이 강학회에서 이벽은 《천주공경가(天主恭敬歌)》를, 정약종은 《십계명가(十誡命歌)》를 지었으며, 삼종기도(三鐘祈禱) 대신 주자(朱子)의 사물잠(四勿箴) 같은 것을 경문(經文)으로 삼아 외우기도 하였다.

가톨릭의 교리를 탐구·신봉·실천·전파하기 시작한 것은 이 강학회를 계기로 비롯되었지만, 이 강학회가 처음부터 가톨릭의 교리 연구만을 위하여 계획되었던 것은 아니었다. 그러나 이 모임은 천주학(天主學)을 하나의 단순한 학문에서 종교에로 이끈 동기가 되었는데, 이 일에는 특히 이벽의 역할이 컸다.

결국 천진암 강학회는 서학(西學)을 서교(西敎)로, 천주학을 천주교로, 즉 학문적 지식을 종교적 신앙으로 변환시킨 일대 계기가 되었던 것이다. 천진암은 경기 광주시 퇴촌면(退村面) 우산리(牛山里)에 있는 사찰터로서, 현재는 이벽·권철신·권일신 형제와 이승훈·정약종의 묘소가 이장되어 있으며 성역개발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카테고리

  • > > >

관련동영상

천진암 경기도 광주에 있는 천주교 성지 경기도 광주시 퇴촌면에 있는 천주교 성지로 1777년~1785년까지 이벽, 정약용, 정약종, 정약전, 이승훈, 권철신 등이 모여 강학회(講學會)라는 학문강의 모임을 가졌던 장소이다. 당시는 폐옥이 된 불교암자였다. 긴 돌계단을 올라가면 다섯 기의 묘가 있으며 왼쪽부터 함께 강학회에 참여했던 정약종, 이승훈, 이벽, 권일신, 권철신의 묘가 이장되어 있다. 가운데 묘는 우리나라 최초의 천주교 신자로 알려진 광암 이벽의 묘이다.  한국 천주교의 발상지로서 100년 계획으로 2079년까지 천진암대성당 건립공사가 진행중이며 제대석, 경모성당, 박물관 등 일부가 조성되어 있다. 그밖에 천진암 강학회 터, 이벽성조 독서처 터를 알리는 푯말이 있다. 출처: doop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