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웅렬

윤웅렬

[ 尹雄烈 ]

요약 조선 후기의 무신. 충청감영중군 겸 공주중군, 함북 북청병마우후토포사, 통리기무아문참사, 남양부사, 별기군 훈련원 하도감의 신병대장의 영관을 지내고 갑신정변 때 개화당 내각의 형조판서로 있었다.
출생-사망 1840 ~ 1911
본관 해평(海平)
활동분야 군사
출생지 충남 아산(牙山)

본관 해평(海平). 충청남도 아산(牙山) 출생. 1856년(철종 7) 무과에 급제, 1861년 충청감영중군 겸 공주중군(忠淸監營中軍兼公州中軍), 함북 북청병마우후토포사(北靑兵馬虞侯討捕使), 1878년(고종 15) 통리기무아문참사(統理機務衙門參事)·남양부사를 역임하였다. 개화운동을 펼치는 선각자로 활동하다 105인 사건 이후 친일파로 변절한 윤치호(尹致昊)가 그의 아들이다. 1880년 일본으로 파견된 수신사 김홍집을 수행하여 일본을 다녀왔다. 이때 일본에 머무는 동안 신식군대 창설의 필요성을 절감하였고 1882년에는 별기군이 신설되자 훈련원 하도감(下都監)의 신병대장(新兵隊長)의 영관이 되었다. 하지만 1882년 6월 임오군란(壬午軍亂)이 일어나자 일본으로 피신하였다.

1884년 김옥균(金玉均)이 주도하는 갑신정변(甲申政變)으로 개화당 내각의 형조판서(刑曹判書)로 임명되었으나 정변의 실패로 능주(綾州)로 유배되었다. 1894년 갑오개혁 때 군부대신으로 있던 중 춘생문사건(春生門事件)에 가담, 실패하자 상하이[上海]로 망명하였다. 1910년 일본 정부의 남작 작위를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