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평윤씨

해평윤씨

[ 海平尹氏 ]

요약 경상북도 구미시(龜尾市)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

시조는 고려시대 고종·원종을 섬긴 금자광록대부(金紫光祿大夫) 수사공(守司空) 좌복야(左僕射) 공부판사(工部判事) 군정(君正)이다. 군정의 증손대에서 문영공파(文英公派:之賢)와 충간공파(忠簡公派:之彪)의 양파로 갈라진다.

해평윤씨가 배출한 조선의 상신 6명, 문형 3명 중 중종 때 을 지낸 은보(殷輔)와 선조 때 영을 지낸 승훈(承勳)만이 문영공파에 속하고, 나머지는 모두 충간공파에서 나왔다. 충간공파에서도 선조 때 영의정 두수(斗壽)의 후손인 오음공파(梧陰公派)와, 그의 아우로 선조 때 을 지낸 근수(根壽)의 후손인 월정공파(月汀公派)의 양파가 번창하여, 후손이 해평윤씨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두수의 다섯 아들 방(昉)·흔(昕)·휘(暉)·훤(暄)·오(旿) 등이 모두 등제 현달하였다. 그 중에서도 방이 인조 때 영의정을 지냄으로써 부자 영상으로 이름을 떨쳤다. 방은 ·한성판윤·형조판서 등을 역임하고, (仁穆大妃)의 폐위에 반대하여 은퇴하였으며, 으로 예조판서에 등용, 우의정·좌의정·영의정을 지냈다.

흔은 우승지를 지내고 계축옥사로 파직되었다가, 역시 인조반정 뒤 예조참판·중추부지사 등을 지냈다. 1636년(인조 14) 때 휘는 인조를 호종, 적진을 왕래하면서 화의를 교섭하였고, 뒤에 형조판서를 거쳐 우찬성에 이르고 영의정이 추증되었다. 또 훤은 병조판서, 오는 를 지냈다.

오음공파에서 뛰어난 인물을 살펴보면, 치천공파(稚川公派)인 방의 아들 이지(履之)가 돈령부판사, 신지(新之)가 선조의 부마로 시·서·화에 능하였다. 신지의 아들 지(訃)가 이조참판, 지의 5세손 명렬(命烈)도 이조참판, 명렬의 아들 치희(致羲)가 이조판서, 치희의 아들 용선(容善)이 한말 총리대신인 의정(議政)을 지냈다. 치희의 조카 의선(宜善)은 순조의 부마, 이지의 6세손 홍렬(弘烈)이 판서를 지냈다.

장주공파(長洲公派)인 휘(暉)의 손자 계와 계의 아들 세기(世紀)가 다같이 병조판서를 지냈다. 세기의 5세손 치용(致容)은 공조판서, 그의 아우 치정(致定)은 이조판서, 치용의 아들 우선(宇善)도 이조판서를 지냈다. 계의 손자 급(汲)도 이조판서를 지냈으며, 글씨에 뛰어나 윤상서체(尹尙書體)를 이룩하였다. 급의 종손 시동(冠東)은 정조 때 각조의 판서를 거쳐 우의정에 이르렀다.

백사공파(白沙公派)인 훤의 아들 순지(順之)는 예조판서·대제학, 훤의 증손 유(游)는 이조판서, 순(淳)은 이조판서를 거쳐 대제학을 지냈다. 근수는 선조 때 동부승지를 거쳐 에 오르고, 부제학·대사헌·형조판서·양관대제학 등을 지냈으며 성리학에 밝았다.

한편 문영공파의 인물로는 은보가 영의정, 은보의 종손 승길(承吉)이 찬성, 그의 아우 승훈(承勳)은 선조 때 영의정을 지냈다. 근세인물로는 순정효황후(純貞孝皇后)가 영의정 방의 후손이고, 치호(致昊)는 흔의 8세손이다. 그의 아버지 웅렬(雄烈)은 한말에 군부대신이었다.

참조항목

, , , , , , , , , , , , , , , , , , , , , , , ,

카테고리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