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해군

광해군

다른 표기 언어 光海君 동의어 조선 제 15대왕, 이혼, 李琿, 체천흥운준덕홍공신성영숙흠문인무서륜입기명성광렬융봉현보무정중희예철장의장헌순정건의수정창도숭업대왕, 體天興運俊德弘功神聖英肅欽文仁武敍倫立紀明誠光烈隆奉顯保懋定重熙睿哲莊毅章憲順靖建義守正彰道崇業大王
요약 테이블
출생 1575(선조 8)
사망 1641(인조 19)
국적 조선, 한국
종교 유교(성리학)
본관 전주(全州)
재위 1608년~1623년
혼(琿)
능묘 광해군묘(光海君墓)

요약 대동법과 호패법을 시행하고 실리적 외교정책을 폈던 조선 제 15대 왕. 선조의 차남이자 서자로 이름은 혼으로 임진왜란이 발발해 위급한 상황에서 세자가 되었고 환란 중 선조를 대신해 정무를 보았으며 전후 대북파의 지지를 받아 왕위에 올랐다. 방납의 폐단을 없애기 위해 대동법을 시행하고 공정한 세금을 물리기 위해 양전와 호패법을 시행하는 등 혁신적인 정치를 폈으나 실효를 거두지는 못했다. 후금이 강성해지자 명과 후금 사이에서 균형 잡힌 실리 외교정책을 펼쳤지만 정책에 불만을 품은 서인 무리들이 반정을 일으켜 폐위되었다.

목차

접기
  1. 개요
  2. 왕위계승
  3. 전란의 복구
  4. 외교정책
  5. 폐위 및 평가

개요

임진왜란 때 세자로서 난의 수습에 힘썼으며, 즉위 후에는 자주적·실리적 외교로써 명·청 교체의 국제 정세에 대처했다.

또한 공납제의 폐단을 개혁하기 위해 경기지역에 대동법을 실시했다. 대북파의 집권에 불만을 품은 서인세력의 반정으로 폐위되었다.

왕위계승

이름은 혼(琿). 선조의 둘째 아들이며, 어머니는 공빈김씨(恭嬪金氏)이다.

비(妃)는 판윤 유자신(柳自新)의 딸이다. 의인왕후(懿仁王后) 박씨가 아들이 없었으므로, 당시 조정에서는 공빈김씨 소생의 임해군(臨海君) 진(珒)을 세자로 삼으려 했으나 광패(狂悖)하다는 이유로 보류되었다. 그뒤 1591년(선조 24) 정철(鄭澈)을 비롯한 대신들이 광해군을 세자로 책봉하자는 건의를 올렸으나, 선조가 인빈김씨(仁嬪金氏)의 소생인 신성군(信城君)을 총애하여 책봉이 지연되었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 왕이 서울을 떠나게 되자 피난지 평양에서 서둘러 세자에 책봉되었고, 선조와 함께 의주로 가는 길에 영변에서 국사권섭(國事權攝:임시로 나랏일을 맡아봄)의 권한을 받았다. 전쟁 동안 강원도·함경도·전라도 등지에서 의병모집 및 군량조달 등의 활동을 전개해 난의 수습에 노력하고, 서울이 수복된 뒤 설치된 군무사(軍務司)의 업무를 주관했다.

1594년 조정에서 명나라에 윤근수(尹根壽)를 파견하여 세자책봉을 청했으나, 큰아들인 임해군이 있다고 하여 거절당했다. 1606년 선조의 계비인 인목왕후(仁穆王后) 김씨에게서 영창대군(永昌大君)이 태어난 것을 계기로 왕위계승을 둘러싼 붕당간의 파쟁이 확대되었다.

광해군이 서자이며 둘째 아들이라는 이유로 영창대군을 후사로 삼을 것을 주장하는 소북(小北)과, 그를 지지하는 대북(大北)이 크게 대립했다. 1608년 병이 위독해진 선조가 그에게 선위(禪位)하는 교서를 내렸으나, 소북의 유영경(柳永慶)이 이를 감추었다가 대북의 정인홍(鄭仁弘) 등에게 발각된 사건이 발생했다.

즉위 후 곧 임해군을 교동(橋洞)에 유폐하고 유영경을 죽이는 한편, 당쟁의 폐해를 막기 위하여 이원익(李元翼)을 등용하여 초당적으로 정국을 운영하고자 했다.

그러나 김직재(金直哉)가 아들 백함(白緘), 사위 황보신(皇甫信)과 함께 순화군(順和君)의 양아들 진릉군(晉陵君)을 왕으로 추대하고자 했다고 하여, 대북파가 100여 명의 소북파를 제거함으로써 뜻을 이루지 못했다.

1613년 조령(鳥嶺)에서 잡힌 강도 박응서(朴應犀) 등이 인목왕후의 아버지 김제남(金悌男)과 역모를 꾀하려 했다는 이유로 김제남을 죽이고 영창대군을 강화에 위리안치했다가 이듬해에 살해했다(→ 계축화옥). 이어 1615년 대북파의 탄핵으로 능창군 전(佺)의 추대사건에 연루된 신경희(申景禧) 등을 제거하고, 1617년 이이첨(李爾瞻)·정인홍 등 대북파가 폐모론을 건의하자 이듬해 인목대비를 삭호(削號)하여 서궁에 유폐시켰다.

전란의 복구

정권을 둘러싼 이러한 갈등과는 달리 전란복구 작업에 과감한 조치를 취했다.

임진왜란이 끝난 뒤 수취제도의 모순이 심해지자, 재정확보 및 신정(新政)의 면모쇄신을 위해 먼저 기존의 공납제의 폐단을 조정하고자 했다. 1608년 5월에 호조참판 한백겸(韓百謙)의 대공수미법(代貢收米法) 시행안을 받아들여 우선 경기도에서 시험적으로 시행할 것을 명하고, 이원익으로 하여금 시행사목을 작성케 했다. 이리하여 선혜법(善惠法)으로 명명된 경기도의 새로운 대공수미제도, 즉 대동법(大同法)이 제정되었다.

그러나 대동법의 시행에 대해 조정의 대신들과 방납(防納)하는 무리들이 끈질기게 반발함에 따라, 경기 주변민들의 바람에도 불구하고 대동법의 확대 시행은 저지되었다.

다만 재위 말기에 충청도·전라도 연해읍에 대해 공물(貢物)을 포(布)로 바꾸어 상납케 하는 임시 조치를 취했을 뿐이다. 또한 수세(收稅) 및 역(役)의 공평을 위해 호패법(號牌法)과 양전(量田)을 실시하여 재원확보에 노력했다. 한편 선조말에 시작한 창덕궁(昌德宮) 재건공사를 1608년에 끝내고, 이어서 경덕궁(慶德宮)·인덕궁(仁德宮)·자수궁(慈壽宮)을 중건하여 파괴된 수도를 복구했다.

창덕궁(昌德宮)
창덕궁(昌德宮)

또한 〈신증동국여지승람〉·〈용비어천가〉·〈동국신속삼강행실〉 등 전쟁으로 없어진 여러 서적을 다시 간행하고, 무주 적상산성(赤裳山城)에 사고(史庫)를 설치했다.

외교정책

그의 재위기간중 특히 주목해야 할 업적은 당시 명·청 교체기의 국제적 변동 속에서 명분보다는 실리적이고 자주적인 외교를 추진해갔던 점이다.

그는 여진족이 후금(後金)을 건국하여 강성해지자 국방대비책으로 대포를 주조하고, 평안감사 박엽(朴燁), 만포첨사 정충신(鄭忠臣)을 임명하여 국방을 강화했다.

한편으로 명나라가 후금 정벌을 위해 원병을 요청하자, 1618년에 강홍립(姜弘立)·김경서(金景瑞)에게 1만여 명을 주어 명군을 원조하게 하면서도 형세를 보아 향배(向背)를 정하라고 명령했다. 명군이 패하자, 강홍립은 부차(富車) 전투에서 후금에게 투항한 뒤 본의아닌 출병임을 해명하여 후금의 침략을 모면하게 되었다.

이는 명나라와 후금 사이에서 명분에 치우치지 않은 채 실리를 택한 뛰어난 외교정책이었다. 또한 1609년 일본과 을유약조(己酉約條)를 체결하여 임진왜란으로 중단되었던 외교를 재개했다.

폐위 및 평가

그는 대북파의 집권에 불만을 품은 서인 김유(金瑬)·이귀(李貴)·김자점(金自點) 등이 능양군(綾陽君) 종(悰)을 받들어 반정을 일으킴에 따라 폐위, 광해군으로 강등되어 강화도·제주도 등에 유배되었다.

광해군은 재위기간중 영창대군 등의 형제를 살해하고, 인목대비를 폐하는 등 패륜의 임금으로 간주되기도 한다. 그러나 광해군 재위 15년간의 대북정권은 전쟁으로 인한 피해를 복구하고 재정기반의 재건과 민생의 안정을 위한 혁신적인 정책을 추진하고, 후금과도 탄력있는 외교관계를 추구하여 내치와 외교면에서 많은 성과를 올렸다.

묘는 경기도 남양주시 진건면 사능리에 있다.

광해군묘
광해군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