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창대군

영창대군

다른 표기 언어 永昌大君 동의어 의, 㼁
요약 테이블
출생 1606(선조 39)
사망 1614(광해군 6)
국적 조선, 한국

요약 영창대군은 선조의 적자이자 광해군의 이복동생이며 어머니는 선조의 계비 인목왕후이다. 광해군 재위 시에 그를 왕으로 추대하려한다는 무고에 연루되면서 유배지에서 살해되었다.
선조가 임진왜란 중에 세자로 책봉한 광해군은 적자도 장자도 아니었고, 명나라의 책봉도 받지 못했다는 명분상의 약점이 있었다. 영창대군이 태어나자 유영경 등의 외척과 소북세력이 영창대군을 세자로 다시 책봉하려 했으나, 선조의 갑작스런 죽음으로 무산되었다. 선조는 임종 전에 유영경, 한흥인 등의 7대신에게 영창대군을 돌봐줄 것을 부탁했다. 1613년(광해군 5) 이이첨의 사주를 받은 박응서가 7대신들이 영창대군을 옹립하려 했다고 무고했다. 이 일로 7대신 등이 처벌되었으며, 대군은 서인으로 강등되어 강화도에 유배되었다가 이듬해 강화부사에 의해 살해되었다. 1623년 인조반정으로 관작이 복구되었다.

조선 제14대왕 선조와 계비 인목왕후 사이에서 태어난 적자이자 광해군의 이복동생. 이름은 의(이미지). 어머니는 연흥부원군 김제남(金悌男)의 딸 인목왕후(仁穆王后)이다.

선조가 임진왜란중에 세자로 책봉한 광해군은 적장자가 아닐 뿐더러 명(明)의 책봉도 받지 못했다는 명분상의 약점이 있었다. 영창대군이 태어나자 유영경(柳永慶) 등의 척신과 소북(小北) 세력이 세자의 개봉을 건의했으나, 선조의 갑작스런 죽음으로 무산되었다. 그러나 선조는 임종 전에 유영경·한흥인(韓興寅)·신흠(申欽)·박동량(朴東亮) 등 7대신에게 영창대군을 돌봐줄 것을 부탁했다.

1608년 광해군이 즉위한 뒤 이이첨(李爾瞻) 등의 대북정권은 임해군(臨海君)을 살해하고 유영경 등을 파면시켰으며, 왕권을 위협하는 첫번째 인물로 영창대군을 지목했다. 1613년(광해군 5) 강변칠우의 은상) 살해사건이 일어나자, 이이첨은 박응서(朴應犀) 등을 사주하여 강변칠우들이 은을 모아 김제남을 영입하고 영창대군을 추대하려는 음모를 꾸몄다고 고변하게 했다. 이 일로 김제남은 사사(賜死)되고 7대신들도 처벌당했으며, 영창대군은 서인으로 강등되어 강화도에 위리안치되었다.

이항복(李恒福)·이덕형(李德馨)·곽재우(郭再祐) 등이 혈육간의 정분과 연소함을 들어 '전은'의 논리를 폈으나, 대북세력의 다수는 '토역'의 논리를 내세워 죽일 것을 주장했다. 결국 이항복 등이 유배를 당하고, 그는 이듬해 대북정권의 명령을 받은 강화부사 정항(鄭沆)에 의해 살해되었다. 1623년 인조반정으로 관작이 복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