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목왕후

인목왕후

다른 표기 언어 仁穆王后
요약 테이블
출생 1584(선조 17)
사망 1632(인조 10)
국적 조선, 한국
본관 연안(延安, 지금의 황해도 연안군(과거 연백군)) 김씨

요약 조선 제14대 왕인 선조의 계비. 영돈녕부사 김제남의 딸이며, 선조의 정비인 의인왕후에 이어 1602년 왕비에 책봉되었고 1606년에 영창대군을 낳았는데, 소북과 대북 사이에서 당쟁이 발생, 대북파 이이첨 등이 반역죄를 씌워 영창대군을 폐서인시킨 뒤 죽였다. 이후 1617년 삭호당하고 서궁에 유폐되었다가 1623년 인조반정으로 복호되어 대왕대비가 되었다.

영돈녕부사 김제남(金悌男)의 딸이다. 1600년(선조 33) 선조의 정비인 의인왕후(懿仁王后)가 죽자, 1602년 왕비에 책봉되었다. 1606년에 영창대군(永昌大君)을 낳자 왕위계승을 둘러싼 문제가 발생했다.

유영경 등 소북은 당시 세자인 광해군이 서자이며 둘째 아들이라 하여 영창대군을 옹립하고, 대북은 광해군을 지지하여 당쟁이 확대되었다. 1608년 선조가 죽고 광해군이 즉위하자 대북이 정권을 잡았다. 1613년(광해군 5) 이이첨(李爾瞻) 등이 반역죄를 씌워 영창대군을 폐서인시킨 뒤 죽였으며 김제남도 사사시켰다. 1617년 삭호당하고 서궁에 유폐되었다가 1623년 인조반정으로 복호되어 대왕대비가 되었다.

인목왕후의 글씨
인목왕후의 글씨

글씨에 뛰어나 직접 쓴 〈보문경 普門經〉 일부가 금강산 유점사에 전한다. 1604년에 소성, 1610년 정의, 1624년(인조 2) 명렬의 존호가 올려졌다. 휘호는 광숙장정이다. 능은 양주에 있는 목릉이다.

목릉(穆陵)
목릉(穆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