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키온

프로키온

[ Procyon ]

태양에서 11.46 광년 떨어져 있으며 작은개자리에서 가장 밝은 별이다(그림 1 참조). 안시등급이 0.34로서 밤에 보이는 별 중 8번째로 밝은 별로, 홑별로 보이지만 쌍성이다. 프로키온A별은 분광형이 F5인 준거성 혹은 주계열성이고 동반성인 프로키온B별은 백색왜성이다.

그림 1. 작은개자리.(출처: 장헌영/성환경/한국천문학회)

목차

기본정보

프로키온A별의 적경적위는 J2000.0년 기준으로 각각 07h 39m 18.12s와 +05° 13′29.96″이다. 표면온도는 6530K이고, 분광형은 F5IV/V이다. 절대등급(@@NAMATH_INLINE@@M_V@@NAMATH_INLINE@@)과 안시등급(@@NAMATH_INLINE@@m_V@@NAMATH_INLINE@@)은 각각 2.66과 0.34이다. 색지수(B-V)와(U-B)는 각각 0.42와 0.00이다. 질량은 태양 질량의 1.50배이고, 반지름은 태양 반지름의 2.05배이다. 자전주기는 23일이고 나이는 약 18억년이다. 현재 주계열성에서 준거성으로 진화하고 있는 중인데 1억년 안에 반지름이 태양 반지름의 80에서 150배 정도까지 팽창할 것으로 생각된다. 심(core)과 외곽부(envelope)는 모두 대류층이고, 복사층이 그 둘을 나누고 있다.

프로키온B별의 절대등급(@@NAMATH_INLINE@@M_V@@NAMATH_INLINE@@)과 안시등급(@@NAMATH_INLINE@@m_V@@NAMATH_INLINE@@)은 각각 13.0과 10.7이다. 분광형이 DQZ인 백색왜성이고, 표면온도는 7740K 이다. 시리우스B별보다 온도가 낮아 시리우스B별보다 늙은 백색왜성일 것이라 여겨진다. 백색왜성의 냉각 시간을 고려할 때 13억년으로 추정된다. 질량은 태양 질량의 0.60배이고, 반지름은 태양 반지름의 0.01배이다. 1844년 베셀(Friedrich Bessel)이 프로키온의 동반성이 존재할 것으로 예측했는데 1896년에 섀벌레(John Martin Schaeberle)가 릭천문대의 36인치 망원경 관측으로 그 존재를 증명했다.

프로키온A별과 B별은 이심률이 0.407로서 심하게 찌그러진 타원궤도를 공전하고 있으며, 공전주기는 40.82년이다. 평균적으로 두 별 사이의 거리는 15.0 AU(천문단위) 이지만, 근성점(periastron)일 때의 거리는 8.9 AU이고 원성점(apastron)일 때는 21.0 AU이다.

겨울에 보이는 성군(Asterism)

큰개자리의 알파별 시리우스, 오리온자리의 알파별 베텔지우스과 함께 겨울철대삼각형을 이루기도 하고(그림 2 참조), 쌍둥이자리의 폴룩스, 마차부자리의 카펠라, 황소자리의 알데바란, 오리온자리의 리겔, 큰개자리의 시리우스와 함께 겨울철육각형 혹은 겨울철다이아몬드를 이룬다(그림 3 참조).

그림 2. 겨울의대삼각형. 아래쪽에 있는 것이 시리우스이고, 오른쪽 붉은 별이 베텔지우스이다.(출처: )

그림 3. 겨울의육각형 혹은 겨울의다이아몬드.()

관련 문화

프로키온은 '개보다 앞선다'는 뜻이다. 지구가 자전함에 따라 별들이 일주운동을 할 때 이 별이 개의 별인 시리우스보다 먼저 지평선에서 뜨기 때문이다. 적경이 커서 시리우스보다 동쪽에 있지만, 적위가 높아서 북반구에서는 시리우스보다 지평선에 먼저 도달한다. 프로키온은 그리스 신화에서 아테네의 이카루스의 딸인 에리고네(Erigone)의 사냥개이다. 바빌론에서는 천구를 만든 마둑(Marduk)의 목수 '난가르(Nangar)'로 알려져 있다. 마케도니아에서 시리우스와 프로키온은 모두 소를 몰면서 쟁기질하는 오리온 주변을 서성이는 배고픈 늑대로 알려져 있다. 중국에서는 남쪽 강을 의미하는 별자리에 속해 '남쪽 강의 세 번째 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