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고

응고

[ 應鼓 ]

요약 아악기(雅樂器)의 하나. 일명 응비(應鼙).

혁부(革部) 또는 혁명악기(革鳴樂器, membranophone)에 드는 응고는 북의 일종이다. 1116년(예종 11) 대성아악(大晟雅樂)의 수입 때 헌가악기(軒架樂器)의 하나로 고려조정에 처음으로 소개됐다.

세종(1418~1450) 당시 아악부흥 때 응고는 여러 아악기와 함께 제조됐다. 그 그림은 『세종실록』 권132에 전하며, 『악학궤범』(樂學軌範 1493) 권6에 도설됐다. 세종 때 응고는 건고(建鼓)·삭고(朔鼓) 등과 함께 회례연(會禮宴)의 헌가에서 연주됐다. 성종(1469~1494) 때 응고는 합주가 시작되기 전에 삭고와 함께 연주됐다. 응고는 오례의 전정헌가(殿庭軒架)에, 세종 때 회례연의 헌가에, 그리고 성종 때 전정헌가(殿庭軒架)에 배열된 악기의 하나이다.

『악학궤범』 권6 소재 응고

『악학궤범』 권6 소재 응고

응고의 구조와 부분명(『한국악기』)

응고의 구조와 부분명(『한국악기』)

조선후기에 이르러 1827년(순조 27)부터 1902년(광무 6)까지 응고는 진연(進宴)·진찬(進饌)·진작(進爵) 때마다 대금·편종·편경·당적·퉁소·비파·해금·방향 등 여러 악기와 함께 헌가에서 연주됐다. 응고의 생김새는 삭고와 거의 같다. 다만 삭고의 틀 위에 있는 화광(火光)이 흰 색깔로 됐지만, 응고의 것은 붉은 색칠로 됐다는 점과 응고가 삭고보다 조금 작다는 점이 다를 뿐이다.

참고문헌

  • 『한국음악용어론』 송방송, 권4.1751쪽
  • 『악학궤범용어총람』 송방송, 서울: 보고사, 2010년, 266쪽
  • 『韓國樂器』 송혜진 글 강운구 사진, 서울: 열화당, 2001년, 281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