삭고

삭고

[ 朔鼓 ]

요약 아악기(雅樂器)의 하나. 일명 삭비(朔鼙)·비고.

북의 일종으로 혁부(革部) 또는 혁명악기(革鳴樂器, membranophone)에 드는 삭고의 그림은 『세종실록』 권132에 나오고, 도설은 『악학궤범』(樂學軌範 1493) 권6에 나온다. 그러나 1116년(예종 11) 고려에 들어온 대성아악(大晟雅樂)의 헌가악기(軒架樂器) 중 하나인 비고가 조선시대의 삭고와 같은 북으로 간주되고 있다.

세종(1418~1450) 때 건고 등과 함께 제조된 삭고는 응고(應鼓) 등과 함께 회례연(會禮宴)에서 연주됐다. 언제나 건고(建鼓)의 서쪽에 놓인 삭고는 건고의 동쪽에 위치한 응고와 한 짝을 이루었다. 『악학궤범』 권2에 의하면, 조회와 연향 때 삭고는 합주가 시작되기 전에만 꼭 한번 연주됐다.

『악학궤범』 당시 삭고의 몸통은 술통처럼 생겼다. 그 길이는 2척(尺) 6촌(寸) 3푼(分)이었고, 양쪽 가죽의 지름은 1척 4촌 4푼이어서 응고보다 조금 크다. 삭고의 틀은 두 십자형(十字形) 호랑이 조각의 받침대에 꽂혀 있는 나무틀 꼭대기의 양쪽이 봉황새의 머리로 장식됐다. 나무통의 중앙에 화광(火光)의 장식이 있고, 그 아래의 횡목(橫木) 중앙에 달린 고리에 북이 매달려 있다.

『악학궤범』 권6 소재 삭고

『악학궤범』 권6 소재 삭고

『한국악기』 소재 현행 삭고(국립국악원 제공)

『한국악기』 소재 현행 삭고(국립국악원 제공)

조선초기 삭고는 오례의전정헌가(五禮儀殿庭軒架)에, 세종 때 회례연(會禮宴)의 헌가에, 그리고 성종(1469~1494) 때 전정헌가(殿庭軒架)에 배열된 악기의 하나이다. 조선후기에 이르러 궁중잔치에서 삭고는 대금·피리·당적·퉁소·해금 등과 함께 연주됐음이 여러 의궤(儀軌)에 전한다. 예로부터 전해오던 삭고는 6·25전쟁 때 없어졌고, 국립국악원에 전시된 삭고는 다시 제조된 것이다.

조선후기 의궤에 나오는 장악원(掌樂院)의 삭고차비 일람표

조선후기 의궤에 나오는 장악원(掌樂院)의 삭고차비 일람표
서기(임금) 잔치명 삭고차비(朔鼓差備)

1827년(순조 27)

진작(進爵)

유계득(劉繼得)

1829년(순조 29)

진찬(進饌)

유계득(劉繼得)

1848년(헌종 14)

진찬

박의영(朴義永)

1868년(고종 5)

내진찬(內進饌)

이득관(李得寬)

1873년(고종 10)

진작

서순철(徐淳哲)

1877년(고종 14)

진찬

김종태(金宗兌)

1887년(고종 24)

진찬

박오흥(朴五興)

1901년(광무 5) 5월

진찬

김삼용(金三用)

1901년(광무 5) 7월

진연(進宴)

고덕준(高德俊)

1902년(광무 6) 11월

진연

이종문(李宗文)

참고문헌

  • 『한국음악용어론』 송방송, 권3.1109~111쪽
  • 『의궤 속의 우리 춤과 음악을 찾아서』 송방송, 서울: 보고사, 2008년, 196, 347, 545쪽
  • 『악학궤범용어총람』 송방송, 서울: 보고사, 2010년, 160~61쪽
  • 『韓國樂器』 송혜진 글 강운구 사진, 서울: 열화당, 2001년, 352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