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성아악

대성아악

[ 大晟雅樂 ]

요약 1105년(휘종 4)에 완성한 송나라 대성부(大晟府)의 아악(雅樂).

의 휘종(徽宗 1101~1125)이 쇠퇴한 을 정비하기 위하여 음률에 밝은 위한진(魏漢津)의 도움으로 창제한 음악이 (大晟樂)이다. 송나라의 휘종은 고려사신에게 대성부에서 제정한 를 보냈다. 1116년(예종 11) 하례사 (王字之)와 (文公美)는 대성부의 (登歌樂器)와 (軒架樂器)를 가지고 귀국했다. 바로 그 음악이 대성아악이다.

하사 받은 등가악기는 (編鍾)·(編磬)·(一絃琴)·(三絃琴)·(五絃琴)·(七絃琴)·(九絃琴)·슬(瑟)·지(篪)·적(篴)·소(簫)·(巢笙)·(和笙)·훈(壎)·(搏拊)·축(柷)·어(敔) ·휘번(麾幡)이었다. 헌가악기는 편종·편경·일현금·삼현금·오현금·칠현금·구현금·슬·지·적·소·소생·(竽笙)·훈·(晉鼓)·(立鼓)·(鼙鼓)·(應鼓)·축·어·휘번이었다.

이상의 아악기 외에 (文舞)와 에 쓰이는 약(籥)·적(翟)·간(干)·과(戈) 및 의식에 쓰이는 (衣冠)·무의(舞衣)·(樂服)·(儀物)도 포함됐다.

1116년 10월 (太廟)에서 대성아악을 연주하도록 한 후 (圜丘)·(社稷)·(先農)·(先蠶)·에서도 연주됐다. 1134년(인종 12) 대성아악이 적전(籍田)에 쓰였다. 의종(1146~1170) 때 이르러 (正聲)과 (中聲)의 구분이 없어졌으며, (軒架)에 진고(晉鼓)가 첨가됐다. 명종(1170~1197) 때에는 아악 다음에 이 추가됐고, (八音) 중 금(琴)·슬(瑟)·훈(壎)이 빠졌으며, 문무와 무무의 순서 및 의물도 변천됐다.

참고문헌

  • 『한국음악용어론』 송방송, 권2.608~611쪽
  • 『증보한국음악통사』 송방송, 서울: 민속원, 2007년, 180~82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