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답동

용답동

[ Yongdap-dong , 龍踏洞 ]

요약 서울특별시 성동구에 있는 법정동.
용답초등학교

용답초등학교

위치 서울특별시 성동구
면적(㎢) 1.59㎢
행정구분 법정동
행정관청 소재지 서울 성동구 용답중앙23길 20 (지번) 용답동 5-6, 용답동 주민센터

서울특별시 성동구에 있는 법정동으로, 행정동인 용답동이 송정동(일부)과 함께 용답동을 관할한다. 북쪽으로는 동대문구 답십리동·용두동·장안동, 동쪽으로는 송정동, 서쪽으로는 마장동·사근동, 남쪽으로는 성수동1가와 접한다. 전체 면적은 1.59㎢로 성동구 전체 면적의 9.5%를 차지한다.

역사

조선시대 초기에는 한성부 동부 인창방에 속한 지역이었다. 영조 때에는 한성부 동부 인창방(성외) 답십리계에 속했고, 갑오개혁 이후에는 한성부 남서(東署) 인창방(성외) 동소문외계와 답십리계 용두리가 되었다. 1911년 4월 1일 경성부 인창면에 속했다가, 1914년 4월 1일 경기도 고양군 숭인면의 답십리와 용두리로 개편되었다. 1936년 4월 1일 경성부의 답십리정과 용두정으로 개칭되었으며, 1943년 6월 10일 구(區)제도의 실시로 동대문구 관할의 답십리정과 용두정이 되었다. 광복후 1946년 9월 28일 경기도 관할에서 분리되어 서울시로 승격되었으며, 같은 해 10월 1일 답십리동과 용두동으로 개칭되었다. 이후 1975년 10월 1일 용두동 일부와 답십리동 일부 통합되어 용답동으로 신설되었고 성동구에 편입되어 오늘날의 서울시 성동구 용답동이 되었다.

용답(龍踏)이라는 지명은 용답동의 신설 당시 용두동(龍頭洞)의 ‘용’자와 답십리동(踏十里洞)의 ‘답’자를 합한 데에서 유래하였다.

현황

동쪽으로 중랑천이, 서쪽으로 청계천이 흐르다가 남쪽에서 합류한다. 동 중앙으로 전농천이 흐르며 복개되지 않은 수변 구간이 생태공원으로 조성되었다. 동측으로 중랑물재생센터와 장안평 중고차시장 등이 위치한다. 중랑물재생센터는 1976년 가동을 시작한 국내 최초의 하수처리장으로 서울하수도과학관이 조성되어 있다. 장안평 중고차매매시장은 1979년 문을 연 우리나라 최초이자 최대 규모의 중고차시장으로 2000년대 이후 온라인 거래가 활성화되기 전까지 그 명성을 유지해 왔다. 한편, 서쪽 지역에는 빌라 등이 밀집한 주거 지역으로 상업 시설이 혼재되어 있으며, 서울교통공사의 1호선과 2호선 차량의 검수를 담당하는 서울교통공사 군자차량사업소가 위치한다.

북쪽으로 천호대로와 접하고, 중랑천을 따라 동부간선도로(성수장암간)가 지난다. 철도 시설로는 서울 지하철 2호선이 신답역용답역을, 5호선이 답십리역장한평역을 경유한다.

교육기관은 2023년 기준 초등학교 1개교(서울용답초등학교) 등이 있으며, 주요 상업시설로는 서울용답상가시장 등이 있다. 

기타 공공기관 및 공공시설에는 용답동주민센터, 서울교통공사 본사, 서울시성동도로사업소, 용답동우체국, 성동구립용답도서관, 서울구립용답체육센터, 용답동노인복지센터 등이 있다. 장안평 중고자동차매매시장이 서울미래유산으로 지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