줄타기

줄타기

[ Jultagi (Tightrope Walking) ]

요약 줄 위에서 재주꾼이 걸어다니며 노래하고 춤추고 재담을 하는 재주놀이. 1976년 6월 16일 국가무형유산으로 지정되었으며, 2011년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대표목록에 등재되었다.
줄타기

줄타기

국가 대한민국(Republic of Korea)
지정종목 국가무형유산
지정일 1976년 6월 16일
분류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대표목록
소재지 경기도 과천시
종류/분류 무형유산 / 전통 공연·예술 / 연희

1976년 6월 16일 국가무형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줄어름타기’라고도 한다. 한문으로는 고환(高絙) ·무환(舞絙) ·환희(絙戱)라고도 한다. 줄타기의 장치는 길다란 통나무 3개의 한쪽을 묶은 것을 양쪽에 세워 세발 기둥을 삼고, 양쪽 기둥에 굵은 밧줄을 팽팽하게 공중으로 잡아매어 설치한다. 줄타기는 원래 서역(西域)에서 하던 것으로 중국에서는 수(隋) ·당(唐) 시대에 성행하였고, 한국은 신라 때 전래되어 고려 ·조선시대에는 백희(百戱) ·잡희(雜戱) ·정재(呈才) ·나례(儺禮)의 한 종목이었다. 《고금예술도(古今藝術圖)》에 의하면 “여자 재주꾼 둘이 줄 위에서 춤추며 걸어다니다가 서로 만나 노래하고 재주를 부리는데 땅에 떨어지지 않더라”고 하였다. 《성호사설(星湖僿說)》에는 “세상에 광대가 줄타기 놀이를 하는 것이 있는데 곧 옛날 환희라는 것이다.

중국의 한(漢)나라 무제(武帝) 때 비롯하여 우리 나라에 전해졌는데 재주가 매우 절묘하여 청(淸)나라 사신이 와서 보고 천하에 더 없는 재주라고 칭찬하였다. 이것은 한결같이 광대가 재주부리는 놀이이다. 우리 나라사람은 온갖 하는 짓이 천덕스럽고 용렬하지만, 다만 광대의 재주만은 졸렬하지 않으니 참 딱한 노릇이 아닐 수 없다”고 하였다. 줄타기 재주에는 돗붙이기 ·발붙이기 ·외홍잡이 ·쌍홍잡이 ·양홍잡이 ·칠보단장 ·촛칠보 ·외칠보 ·배돛대 ·황새령넘기 ·쇠두렁넘기 ·접대서기 ·추천 등의 종목이 있다. 한국에서는 사당(寺黨)이라는 떠돌이 예능인이 민간의 혼인잔치 ·생일잔치 ·환갑잔치 또는 과거(科擧) 급제의 경사잔치에서 줄타기를 보였다. 현대에는 곡예의 일종이 되었으며 서커스 같은 데에서 흥행한다.


[UNESCO 지정 한국의 무형유산]

[UNESCO 지정 한국의 무형유산]
NO. 무형유산명 등록연도 이미지

1

종묘제례 및 종묘제례악

2001

줄타기 본문 이미지 1

2

판소리

2003

줄타기 본문 이미지 2

3

강릉단오제

2005

줄타기 본문 이미지 3

4

강강술래

2009

줄타기 본문 이미지 4

5

남사당놀이

2009

줄타기 본문 이미지 5

6

영산재

2009

줄타기 본문 이미지 6

7

제주 칠머리당 영등굿

2009

줄타기 본문 이미지 7

8

처용무

2009

줄타기 본문 이미지 8

9

가곡

2010

줄타기 본문 이미지 9

10

대목장

2010

11

매사냥

2010

줄타기 본문 이미지 10

12

택견

2011

줄타기 본문 이미지 11

13

줄타기

2011

줄타기 본문 이미지 12

14

한산 모시짜기

2011

줄타기 본문 이미지 13

15

아리랑

2012

16

김장

2013

줄타기 본문 이미지 14

17

농악

2014

줄타기 본문 이미지 15

18

줄다리기

2015

줄타기 본문 이미지 16

19

제주해녀문화

2016

줄타기 본문 이미지 17

20

씨름

2018

줄타기 본문 이미지 18

21

연등회, 한국의 등축제

2020

줄타기 본문 이미지 19

카테고리

  • > > >
  • > >
  • > > >

관련동영상

하이서울페스티벌 세계 줄타기 대회 출처: doop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