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사당놀이

남사당놀이

[ Namsadang nori(Vagabond troupe's performance) , 男寺黨놀이 ]

요약 조선시대 유랑연예인집단인 남사당의 연희(演戱) 내용. 1964년 12월 7일 국가무형유산으로 지정되었고, 2009년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남사당놀이

남사당놀이

국가 대한민국(Republic of Korea)
지정종목 국가무형유산
지정일 1964년 12월 7일
분류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대표목록
관리단체 남사당놀이보존회
소재지 서울특별시
기예능보유자 박용태(꼭두각시놀음, 덧뵈기, 풍물)
종류/분류 무형유산 / 전통 공연·예술 / 연희

1964년 12월 7일 국가무형유산으로 지정되었고, 2009년 9월 30일 유네스코 세계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남사당은 대개 농어촌이나 성곽 밖의 서민층 마을을 대상으로 하여 모심는 계절부터 추수가 끝나는 늦은 가을까지를 공연시기로 하였다. 남사당은 서민들로부터는 환영을 받았지만 양반에게는 심한 혐시(嫌猜)와 모멸의 대상이었기 때문에 아무 마을에서나 자유로이 공연할 수가 없었다.

공연을 하기 위해서는 공연에 앞서 마을에서 가장 잘 보이는 언덕을 골라 온갖 재주를 보여주는 한편 곰뱅이쇠가 마을로 들어가 마을의 최고 권력자(양반)나 이장 등에게 공연 허가를 받아야 하였다. 만약 허락이 나면 "곰뱅이(許可) 텄다"고 하면서 의기양양하게 '길군악'을 울리며 마을로 들어가지만 대개의 경우는 곰뱅이가 트이지 않았다고 한다. 저녁밥을 먹고 날이 어두워지면 놀이판으로 잡은 넓은 마당에 횃불을 올리고 공연을 시작한다.

한편 놀이판에는 사전에 줄타기의 줄을 매고 꼭두각시놀음의 포장막과 버나(대접돌리기)·살판(땅재주)·덧뵈기(탈놀음) 등을 위한 장치를 설치하며, 마당 한가운데에는 멍석을 5∼6장 깐다. 여기서 벌이는 '남사당놀이'의 종목은 6종이다.

① 풍물:일종의 농악으로, 인사굿으로 시작하여 돌림벅구·선소리판·당산벌림·양상치기·허튼상치기·오방(五方)감기·오방풀기·무동놀림·쌍줄백이·사통백이·가새(위)벌림·좌우치기·네줄백이·마당일채 등 24판 내외의 판굿을 돌고, 판굿이 끝난 다음 상쇠놀이·따벅구(벅구놀이)·징놀이·북놀이·새미받기·채상놀이 등의 순서로 농악을 친다. 풍물은 웃다리가락(충청·경기 이북지방)을 바탕으로 짰다고 하며, 참여 인원은 꽹과리·북·징·장구·날라리·땡각[令角]의 잽이[樂士]와 벅구 등을 포함한 최소 24명 정도가 1조를 이룬다.

② 버나:쳇바퀴나 대접 등을 앵두나무 막대기로 돌리는 묘기를 말하는데, 중국인들의 접시돌리기를 연상케 한다. 이 놀이의 묘미는 접시 등을 돌리는 외에 돌리는 사람인 버나잽이와 받는 소리꾼인 매호씨(어릿광대)가 주고받는 재담과 소리가 극성(劇性)이 짙은 데 있다. 돌리는 물체에 따라 대접버나·칼버나·자새버나·쳇바퀴버나 등으로 분류된다.

③ 살판:오늘날의 텀블링을 연상시키는 묘기로, '잘하면 살 판이요 못하면 죽을 판'이라는 뜻에서 붙여졌다 한다. 종류는 앞곤두·뒷곤두·번개곤두·자반뒤집기·팔걸음 등 11가지 순서로 되며, 살판쇠(땅재주꾼)와 매호씨(어릿광대)가 잽이의 장단에 맞추어 재담을 주고받으며 재주를 부린다.

④ 어름:줄타기 곡예로, 무대 중앙을 가로지른 높다란 외줄을 어름산이(줄꾼)가 건너가며 매호씨와 재담을 주고받는 놀이이다. 종류는 앞으로가기·장단줄·거미줄늘이기·뒤로훑기·콩심기·화창사위 등 약 15가지가 있다.

⑤ 덧뵈기:덧(곱) 본다, 즉 탈을 쓰고 하는 연희로서 일종의 탈놀음이다. 4마당 구성으로 첫째 마당(마당씻이)에서 놀이판을 확보하고, 둘째 마당(옴탈잡이)에서 외세(外勢)를 잡고, 셋째 마당(샌님잡이)에서 내부의 모순을 없애고, 넷째 마당(먹중잡이)에서 외래 문화를 배격하는 내용이다. 탈은 샌님·노친네·취발이·말뚝이·먹중·옴중·피조리·꺽쇠·장쇠 등인데, 바가지 위에 종이를 쪄 붙여 탈에 따라 요철을 나타내고, 눈구멍과 입구멍을 뚫은 다음 아교·백분(白粉)·가루염료를 배합하여 각각의 특징을 그린다.

⑥ 덜미:남사당놀이의 마지막 순서이며 한국에 하나뿐인 민속인형극 꼭두각시놀음으로, 남사당패들에게는 덜미라는 이름으로 통한다. 이 6가지 놀이는 대략 밤 9시부터 다음날 새벽 3∼4시까지 연희되어 총 6∼7시간을 공연했다 한다.


[UNESCO 지정 한국의 무형유산]

[UNESCO 지정 한국의 무형유산]
NO. 무형유산명 등록연도 이미지

1

종묘제례 및 종묘제례악

2001

남사당놀이 본문 이미지 1

2

판소리

2003

남사당놀이 본문 이미지 2

3

강릉단오제

2005

남사당놀이 본문 이미지 3

4

강강술래

2009

남사당놀이 본문 이미지 4

5

남사당놀이

2009

남사당놀이 본문 이미지 5

6

영산재

2009

남사당놀이 본문 이미지 6

7

제주 칠머리당 영등굿

2009

남사당놀이 본문 이미지 7

8

처용무

2009

남사당놀이 본문 이미지 8

9

가곡

2010

남사당놀이 본문 이미지 9

10

대목장

2010

11

매사냥

2010

남사당놀이 본문 이미지 10

12

택견

2011

남사당놀이 본문 이미지 11

13

줄타기

2011

남사당놀이 본문 이미지 12

14

한산 모시짜기

2011

남사당놀이 본문 이미지 13

15

아리랑

2012

16

김장

2013

남사당놀이 본문 이미지 14

17

농악

2014

남사당놀이 본문 이미지 15

18

줄다리기

2015

남사당놀이 본문 이미지 16

19

제주해녀문화

2016

남사당놀이 본문 이미지 17

20

씨름

2018

남사당놀이 본문 이미지 18

21

연등회, 한국의 등축제

2020

남사당놀이 본문 이미지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