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용무

처용무

[ Cheoyongmu , 處容舞 ]

요약 처용신화를 바탕으로 한 벽사적 궁중무용. 1971년 국가무형유산으로 지정되었으며, 2009년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대표목록으로 등재되었다.
국가 대한민국(Republic of Korea)
지정종목 국가무형유산
지정일 1971년 1월 8일
분류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대표목록
소재지 서울특별시
기예능보유자 김용(金龍), 김중섭(金重燮)
종류/분류 탈춤

처용의 탈을 쓰고 추는 벽사(辟邪:귀신을 물리침)적 성격의 궁중무용으로, 별칭은 ‘오방처용무(五方處容舞)’이다. 바탕이 되는 처용신화는 기록상 《삼국유사》 〈처용랑망해사(處容郞望海寺)〉에 처음으로 등장한다. 통일신라 헌강왕용왕의 아들인 처용은 수도 서라벌에 정착해서 살고 있었다. 어느 날 역신(疫神: 전염병을 옮기는 신)이 부인을 범하려 하자 처용은 춤과 노래로 역신을 물리쳤다. 이후 문에 처용의 모습을 붙이면 천연두를 막고 좋은 기운을 불러온다는 민간신앙으로 이어졌다.

고려시대 기록에 따르면 처용무는 국가 행사인 팔관회에서 산대잡희(山坮雜戱: 산과 같은 높은 무대에서 연희된 잡다한 구성의 탈놀이)와 함께 공연되었다. 처용무는 고려 후기까지 1인 무용이었지만 조선 세종 대에 5명의 무용으로 변형되었고 성종 대부터 궁중의식에 사용되었으며, 주로 악귀를 쫓는 궁중 의식인 나례에서 공연되었다. 《악학궤범》에 의하면 나례 의식에서 두 차례의 처용무가 공연되었으며, 처음 공연에서는 나례 의식과 관련된 춤을, 나중 공연에서는 예술적 요소로 구성된 춤을 추었다.

우리나라 궁중무용 중 유일하게 사람 형상의 탈을 쓰고 연행된다. 5명의 무용수는 처용탈과 함께 동·서·남·북·중앙의 오방을 상징하는 청·백·적·흑·황색의 옷을 입고 대형을 바꿔가며 춤을 춘다. 처용탈은 팥죽색 피부, 하얀 치아, 목걸이, 귀고리, 모란 2송이와 복숭아 7개가 달린 검은 사모이다. 오방색·팥죽색 피부·복숭아는 벽사를, 모란은 진경(進慶: 경사를 불러들임)을 상징한다.

춤과 음악이 다양화되면서 전승되어 왔다. 1971년 국가무형유산으로 지정되면서 김기수, 김용 등이 처용무 보유자로 인정되었다. 현재 전승자로 조직된 사단법인 국가무형유산으로 처용무보존회를 중심으로 처용무 공연, 이수 교육, 학술 연구 등 다양한 전승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다.

2009년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대표목록으로 등재되었다. 유네스코 무형유산위원회는 처용무가 민간설화에서 유래된 벽사·구복적 궁중무용이며 유교적 오행철학, 처용탈 공예, 전승 노력 등의 가치를 담았다는 점을 인정하여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선정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