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마

이제마

[ 李濟馬 ]

요약 조선 말기의 의학자로 사람의 체질과 성질에 따라 치료를 달리해야 한다는 사상의학론을 제창하였다.
출생-사망 1838 ~ 1900

본관은 전주(全州), 호는 동무(東武), 자는 무평(務平)이며, 1838년(헌종 7) 함경남도 함흥에서 출생하였다. 1888년(고종 25) 군관직에 등용되었다가 이듬해 사퇴하고, 1892년 진해현감(鎭海縣監)에 임명되어 지역민을 대상으로 자신이 고안한 사상의학(四象醫學)을 시험하기도 하였다. 다음해 현감직을 사직하고 서울에 돌아온 뒤 사상의학을 정리하여 1894년 《동의수세보감》 2권을 저술하였다. 이후 고향 함흥으로 돌아가 의업에 종사하다가 1896년 함흥에서 발생한 최문환(崔文煥)의 반란을 평정한 공으로 고원군수(高原郡守)로 추천되었으나 나가지 않았다.
 
그는 평소 《주역(周易)》의 태극설(太極說)인 태양(太陽)·소양(少陽)·태음(太陰)·소음(少陰)의 사상(四象)을 인체에 적용, 기질과 성격에 따라 인간을 4가지 형으로 분류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판단하고 의학에 적용하기 위해 연구를 계속하였다. 1900년 예전에 펴낸 《동의수세보감》의 내용을 수정 보충하는 증보판을 준비하다가 세상을 떠났고, 이를 그의 문인들이 정리하여 1901년 출간하였다. 책의 내용은 성명론(性命論)·사단론(四端論)·확충론(擴充論)·장부론(臟腑論)·의원론(醫源論)·광제론(廣濟論)·사상인변증론(四象人辨證論) 등 7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종래 질병 치료에서는 음양오행설에 따라 음증인 환자에게는 온열재를, 양증인 환자에게는 냉재의 약재를 써서 병을 다스렸으나 사람의 체질과 성질에 따라 같은 질병이라도 그 처방이 달라야 한다는 이론으로 한의학의 새로운 방법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깊다. 저서로는 《동의수세보원(東醫壽世保元)》과 《격치고(格致藁)》가 전하며, 1995년 《동무유고(東武遺稿)》 필사본이 발굴되었다.

이제마 연보
출생 1838~ 사망 1900

1838

함경남도 항흥에서 출생.

1850

향시에 장원 급제.

1875

무과에 급제.

1888

군관직에 등용되었으나 이듬해 사퇴.

1892

진해현감을 지냄.

1894

동의수세보원》 2권을 저술.

1896

함흥에서 최문환의 반란을 평정해 고원군수로 추천되었으나 거절.

1900

동의수세보원》의 내용을 수정 보충하는 증보판을 준비하던 중 사망.

1901

가까운 문인들이 《동의수세보원》 증보판을 정리하여 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