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화

유화

[ Oil painting , 油畵 ]

요약 기름으로 갠 물감을 사용하는 회화의 한 분야.
뱃놀이 점심

뱃놀이 점심

유화는 린시드유 등의 건성유를 사용해 안료를 녹여 칠하는 그림으로, 유채화(油彩畵)라고도 한다. 캔버스(화포)나 판넬(목판) 등에 그리며, 색조와 선의 표현, 재질감의 표현 등이 용이하여 매우 다양한 표현이 가능하다. 또한 제작 중 표현한 색과 건조 후의 색이 거의 변화가 없다는 강점이 있다. 유화는 건성유를 사용한다는 재료적 특성을 지칭하는 용어로, 표현 방식 및 소재 등에 있어서는 미술사 속에서 여러 시대를 거치며 다양한 기법으로, 또 다양한 목적을 위해 제작되었다.

특징

유화는 다른 기법에 비하여 색조의 혼합이나 색의 농담(濃淡) 표현이 쉽고 '선적(線的)' 표현도 가능하며, 광택·반광택·무광택의 효과 혹은 불투명·반투명·투명의 묘법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칠하는 물감의 두께와 붓놀림 등에 따른 화면의 재질감 '마티에르' 표현이 가능하다. 다만 아크릴화나 수채화에 비해 건조 시간이 오래 걸리며, 그림의 보관 환경 등에 따라 성분의 화학작용으로 인해 물감이 갈라지거나 변색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건조제나 바니시 등 여러 보조제를 함께 사용하곤 한다.

역사

이탈리아의 미술사가 바자리(Giorgio Vasari, 1511-1574)는 15세기 초 얀 반 에이크(Jan van Eyck)가 유화를 발명했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11-12세기 독일의 수도사 테오피루스의 기록이나 14세기 이탈리아의 화가 첸니노·첸니니의 그림기법 책에 유화물감이나 유화기법에 대한 서술이 남아있는 것에 미루어 볼 때 유화는 그 이전부터 어떤 형태로든 제작되었을 것으로 여겨진다. 하지만 반 아이크는 유화의 재료나 기술의 발전 및 정착에 상당히 기여했으며, 그의 작품을 통해 유화의 유연성, 풍부한 색조와 그 미묘한 변화, 세부적인 명암 표현 등을 선보이며 그 가능성을 넓혔고, 그의 시기에 유화는 비로소 당시까지 성행했던 템페라화를 대체하게 되며 본격적으로 확산되었다.

15세기 플랑드르 지방의 투명한 유채 기법이 템페라화의 화재나 화법을 어느 정도 계승했던 것에 비해, 16세기에 이르면 보다 근대적인 기법과 연계되는 유화 특유의 표현법이 생겨났다. 특히 이탈리아의 베네치아 화파는 보다 풍부한 색채를 구현하고, 물감을 두껍게 바르거나 붓터치의 효과를 살리며 유화의 독특한 특성을 살렸고, 베첼리오 티치아노, 자코포 로부스티와 스페인의 디에고 벨라스케스 등이 이러한 전통을 이어 나갔다.

17세기 페테르 파울 루벤스는 플랑드르의 전통과 르네상스 미술바로크 미술의 기법을 융합하여 특유의 화려하고 장대한 세계를 펼쳤으며, 같은 시기 네덜란드의 렘브란트 판 레인는 중후한 색채와 특유의 명암법으로 보다 내면적이고 종교적인 회화를 그리며 후대 화가들에게 많은 영향을 주었다.

18세기 프랑스를 중심으로 아카데미에 의한 기법적 전통이 확립되었고, 19세기 중반 발명된 튜브 물감의 발명은 19세기 후반 인상주의 화가들의 등장으로 이어지며 기존 회화 체계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인상주의 화가들은 아카데미의 보수적 소재와 화풍에 반기를 들며 보다 즉각적으로 시시각각 움직이는 빛과 대기의 변화, 그를 기록하기 위한 풍부한 색채의 효과 등을 담아낸 작품을 전개하였고, 기존 회화 전통의 근대화를 이끌었다.

20세기에 들어 유화는 보다 실험적인 양상을 보였는데, 이는 재료나 기법과 관련된 것이라기보다는 표현의 대상 및 이를 구현하 방식에 대한 것이었다. 구상화보다는 추상화가 주류를 이루게 되었으며, 또한 평면성을 핵심으로 했던 유화는 점차 삼차원의 구조물 및 기타 재료와 결합하게 되었다.

현대에 들어서도 유화는 구상화와 추상화로, 다양한 재료와 기법을 사용하여, 또 여러 목적을 위하여 꾸준히 제작되고 있다.

한국에서의 유화

유화 기법이 한국에 처음 알려진 것은 18세기 나라를 왕래한 실학파 지식인들에 의해서였으며, '양화(洋畵)'라고 불렸다. 19세기 말에는 서양의 선교사와 외교관 등과 함께 본격적으로 유입되었는데, 1899년에는 네덜란드계 미국인 화가 허버트 보스(Hubert Vos, 1855-1935)가 고종황제의 초상을 명암법과 원근법 등 사실적인 기법을 사용한 유화로 남기기도 했다. 또한 이 시기 여러 외국인 화가에 의해 서울의 풍경이 유화로 그려졌다. 한국의 첫 서양화가로 알려진 것은 고희동으로, 이후 김관호, 나혜석 등이 일본에서 유학하고 귀국하며 한국의 서양화(유화) 흐름을 이끌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