묘청

묘청

[ 妙淸 ]

요약 고려시대의 승려로 서경 천도(遷都)를 주장하였으나 개경 중신들의 반대로 좌절되었다. 이에 반란을 일으켰으나 부하에게 살해되었고 반란군은 김부식이 이끄는 관군에게 섬멸되었다.
묘청 상

묘청 상

출생-사망 ? ~ 1135
별칭 정심
출생지 서경(평양)

정심(淨心)이라고도 한다. 서경(西京: 平壤) 출생. 검교소감(檢校少監) 백수한(白壽翰)을 통하여 근신(近臣)들과 접촉, 도참설(圖讖說)을 이용하여 중앙정계에 진출하였다. 1127년(인종 5) 왕실 고문으로 추대되자 인종에게 서경 천도를 주장하였다. 당시의 혼란한 내외정세를 이용, 개경(開京) 출신 구신(舊臣)들의 세력을 꺾기 위하여 서경천도(遷都)를 획책한 것이었다. 인종 또한 개경의 문벌 관료들이 득세하는 개경을 떠나 서경으로 천도하여 왕권강화를 모색하였다. 1129년 신궁을 낙성, 칭제건원(稱帝建元)을 청하고 나라 공략 등을 건의하였으나 김부식(金富軾) 등 사대주의자들의 반대로 좌절되었다. 1134년 삼중대통지 누각원사(三重大統知漏刻院事)에 오르고 왕에게 천도를 계속 주청하였으나 불가능해지자 1135년 서경에 기반을 두고 국호를 대위(大爲), 연호를 천개(天開)라 하여 천견충의군(天遣忠義軍)을 조직, 반란을 일으켰다. 그러나 반란군은 원수(元帥) 김부식에게 섬멸되고 묘청 자신은 부하 조광(趙匡)에게 피살되어 개경에 효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