턱걸이 자세

턱걸이 자세

작성일 2018.01.13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제가 방에 턱걸이를 달아놨습니다.

한번에 평균 턱걸이를 2~3번씩하고 많이 할때는 5개까지 하는데 제가 자세가 잘못된거지 팔힘만 들어가는것같고 이상하게 턱걸이를 하면 목 왼쪽근육이 뭉치네요 정확한 자세를 알려주실수 있나요?

또 이상하게 목에 무리가 가는이유좀 알려주세욥


#턱걸이 자세 #턱걸이 자세 디시 #턱걸이 자세 교정 #턱걸이 자세 종류 #턱걸이 자세별 근육 #턱걸이 자세 효과 #턱걸이 밴드 자세 #턱걸이 매달리기 자세 #올바른 턱걸이 자세 #잘못된 턱걸이 자세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장코치(장우현)입니다.

 결론만 말씀드리면 복압을 만들어내는 코어근육군이 먼저 수축해야 하는데, 흔히 "악"을 쓰면서 힘을 쓴다고 하지요? 흉곽을 들어올리는 쇄골지 근육들이 과도하게 작용하면서 트리거포인트가 생기고 통증 및 심하면 두통까지도 유발합니다.

 턱걸이와 관련된 제 칼럼을 첨부하오니 한번 읽어보시고 천천히 따라해보시길 추천드려요.

-

풀업(턱걸이)할 때 어깨가 아파요 ㅠㅜ feat 풀업보다 친업



(사진출처 : Calisthenics Movement)


 장코치(장우현)입니다. 블로그를 방문해주시는 여러분들게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


-


 멋지고 넓은 등 근육, 요즈음에는 여심 뿐 아니라 남심까지도(!?) 유혹하는 실정입니다.


 데드리프트와 함께 최고의 등운동으로 평가받는 턱걸이(풀업). 그런데 턱걸이를 하다보면 어깨 통증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왜 그럴까요?


 그리고 왜 장코치는 풀업보다도 친업을 먼저하라고 주장하는걸까요?


-


1. 풀업할 때 어깨가 불편하다면?



(사진출처 : Calisthenics Movement)


 대부분의 사람들은 강력하고 큰 등 근육들, 승모근과 광배근을 효과적으로 사용하지 못합니다. 왜냐하면 현대사회, 일상생활에서 그 근육들을 크게 쓸 일이 없거든요!


 그래서 풀업을 할 때


. 견갑골이 충분히 움직이지 못하고(후인 및 하강)

. 그 만큼의 가동범위 손실이 일어납니다.

. 이 손실된 가동범위를 손목 혹은 팔꿈치, 어깨 관절 등에서 보상해야 하고

. 이 과정에서 어깨에 충돌(impingement)이 나거나 팔꿈치가 두득거린다거나

. 이두근의 개입이 너무 심해져 이두건염으로 이어지기도 합니다. 

 


2. 올바른 풀업을 위한 준비단계


 올바른 풀업뿐 아니라 모든 운동에 있어 가장 기초는 “관절 가동성”입니다.


 각 관절에 정상적인 가동범위가 나오지 않는 다면 제 아무리 좋은 운동도 건강을 위협하는 상해도구가 될 수 있습니다.


 특히나 풀업(턱걸이)에서는


. 견갑대 자체의 가동성과

. 견갑대를 지지하는 주변 근육의 가동성


 이 두 가지가 더욱 중요합니다.


 먼저 견갑대 자체의 가동성을 위한 운동들은 여러 가지가 있겠으나 장코치가 꼽는 최고의 운동은 역시 푸시업 플러스(Push up Plus)


 (씅에 차는 영상이 없어 본인 등판함.. 급하게 찍은거라 빤스 보여도 양해좀 ㅠㅠ)


 위 영상으로 충분한 설명이 되었다고 생각하겠습니다!



 견갑대를 지지하는 주변 근육의 가동성을 위해서는 한 가지가 더 필요한데요, 바로 데드행(Dead hang)입니다. 바(bar)를 잡고 축~ 늘어져서 스트레칭을 해주면 되는데요,


 다만 그립을 언더그립으로 해주세요. 그래야 추후 가장 문제를 많이 일으킬 이두근과 흉근, 광배근이 충분히 늘어납니다. 


 오버그립으로 해주어도 상관은 없는데 오버그립으로 데드행을 하려면 더 많은 가동성을 필요로 합니다. 때문에 처음에는 언더그립으로 실시하기를 추천합니다.




 위 사진보다도 더 더 축 늘어뜨려 어깨가 귀에 닿을 정도로 풀어놓아야 합니다. 이때 허리가 불편한 사람들도 있는데, 그런 분들은 하복부가 약해 요추 과전만이 일어나서 그런 것이니 플랭크 하듯이 코어를 잠가(engage) 할로우 포지션을 만드시면 됩니다.



3. 풀업보다 친업


 운동을 이제 막 시작했거나 엄격한 풀업을 5개 이상 할 수 없다면 풀업보다는 친업을 추천드리고 싶습니다.



(사진출처 : Calisthenics Movement)


 풀업(오버그립)은 회전근개와 흉근, 광배근의 많은 가동성을 필요로 합니다. 대부분의 입문자들은 위 3가지 근육들의 가동성이 매우 취약합니다.


 따라서 데드행 + 친업을 실시하면


. 흉근, 회전근, 광배근의 충분한 신장 가동성을 확보하고

. 이두근과 이두힘줄을 단련하여 추후 부상을 방지하고

. 견갑대 주변근의 힘을 보다 쉽고 안전하게 확보할 수 있습니다.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


 http://open.kakao.com/me/stinvvv









 



턱걸이 자세

이제 중2올라가는 남학생 입니다 제가 밴드로 턱걸이를 최대 5개씩 하고있는데요 자극이 어디에 와야하는지 모르겠어요 도와주세요 턱걸이 자세도요 초보에...

턱걸이 자세

1.턱걸이할 때 기리근 ?쪽에 자극 오는 게 자세가 맞는건가요 ? 2.그리고 오른쪽 한쪽만 자극이 옵니다 .. 제가 평소에 자세가 삐뚤다는 얘기도 있고 등을 만져봐도 한곳은...

턱걸이 자세

제가 턱걸이 자세를 유튜브에서 보고 팔 외회전도 하고 팔꿈치 앞쪽으로도 하고 하는데 견갑이 잘 안 움직이고 왼쪽 어께에서 뚝뚝 소리가 나고 좀 아픈데 어떻게 해야할까요....

턱걸이자세

턱걸이 자세좀 봐주세요 철봉낮게해서 해봤는데 참... 자세잡기어렵네요 안녕하세요!! 많은 운동경험과 지식으로 알려드립니다. 아직 힘이 조금 약하네요 풀업밴드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