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기시대

철기시대

다른 표기 언어 Iron Age , 鐵器時代

요약 인류물질문화 발전 단계에서 연모를 철기로 만들어 썼던 시기.

철은 다른 금속에 비해 원료가 흔하지만 원석으로부터 철을 추출하는 데는 높은 열을 필요로 하므로 어느 정도의 기술발전 없이는 만들기 어려운 만큼 청동에 비해서 늦게 사용되었다. 한편 초기철기시대는 본래 자체적으로 제작하기에 앞서 밖으로부터 철기를 들여다 쓰기 시작한 시대를 말한다.

철의 발상지는 서남아시아 아나톨리아 지방으로 알려져 있고 그곳에서 BC 3000년경부터 철기를 만들어 사용한 것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이때는 자연철(自然鐵:隕鐵)을 이용해 두드려 만든 것으로 철기의 생산은 소규모였다. 그후 BC 15세기 무렵에 건설된 히타이트 제국에서 철을 본격적으로 생산하게 되었는데 철을 독점 생산하여 강한 무기로 무장한 전투력을 갖고 제국을 건설할 수 있었다.

BC 12세기에 히타이트 제국의 멸망과 함께 철생산 기술이 서아시아 여러 나라로 전해짐으로써 철기가 널리 보급되었다. 한편 동아시아에서는 중국에서 춘추시대(春秋時代) 말기인 BC 5세기부터 철을 생산하기 시작했는데 서아시아로부터 전해온 것인지 또는 중국이 자체적으로 제철기술을 발전시켰는지에 대해 논란이 많다. 그런데 서아시아의 철기는 단조(鍛造) 방법으로 만드는 데 비해 중국에서는 처음부터 주조(鑄造)에 의해 만들었기 때문에 중국에서 자체적으로 철기를 만들어 쓴 것으로 보고 있다.

철기기시대
철기기시대

한국의 철기시대

북쪽지방의 철기시대 유적에서 명도전(明刀錢)이 나온 것으로 보아 우리나라의 철기문화는 중국에서 전래된 것임을 알 수 있다.

명도전은 중국 북쪽에 자리잡고 있던 연(燕)나라에서 만든 금속화폐로 연나라와의 교역관계를 보여주는 증거물인데, 그 출토지가 랴오둥[遼東] 반도에서 시작하여 압록강 중류를 거쳐 청천강 유역에까지 이른다. 우리나라 철기시대 유적들인 위원 용연동(龍淵洞), 강계 길다동(吉多洞), 덕천 청송리(靑松里) 등에서 철제 이기(利器)들과 함께 명도전이 나오는 것으로 보아 당시 철기술을 갖고 있던 연나라로부터 우리나라에 철기문화가 들어온 것을 알 수 있고, 그 시기는 BC 3세기 무렵이 된다.

이들 유적을 초기철기시대로 본 것은 그곳에서 나온 철기들이 자체 생산한 것이 아니라 중국의 제품을 들여와 쓴 것으로 보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최근 철기시대 유적에서 나온 철기유물들의 성분을 분석해본 결과 중국의 제철기술이 들어온 것은 사실이나 그 당시 우리나라에서도 자체 생산을 한 것으로 나타난다.

BC 3세기부터 철기시대로 들어서기는 했으나 생산도구의 일부만을 철기가 대신했을 뿐 앞선 시기의 청동기들과 함께 석기도 여전히 쓰이고 있었다. 철낫·철보습·철반달칼·철괭이 등 농업 생산도구들이 철로 바뀌었으나 의례와 신분을 상징하는 비실용성 도구들은 아직도 청동을 이용했다. 이 시기를 대표하는 청동기들은 좁은놋단검[細形銅劍]·잔줄무늬거울[多紐細紋鏡]·청동방울[八珠鈴] 등이 있고 꺽창[銅戈]과 같은 무기에도 청동으로 만든 것이 있다.

철기시대 사람들이 남긴 유적으로는 무덤·집터·생활쓰레기터 및 쇠를 녹여 만든 쇠부리터 등이 있다.

무덤에는 움무덤[土壙墓]·독무덤[甕棺墓]·돌덧널무덤[石槨墓]이 있고 청동기시대에 주를 이루던 고인돌 무덤은 자취를 감추었다. 이들 무덤양식 가운데 움무덤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움무덤은 평안도를 중심으로 한 서북지방에서 널리 쓰였고 남부지방으로 내려와 경주·울산·창원 등지에서도 많이 드러나고 있는데 정확한 용어로 표현하면 나무널움무덤[土壙木槨墓]이다. 지하에 움을 파고 나무로 널[棺]이나 덧널[槨]을 짜 넣은 뒤 2~3m 높이로 낮게 봉분을 쌓았다.

무덤의 껴묻거리로는 좁은놋단검·꺽창·화살촉 등 청동기들과 쇠도끼 등의 철기들이 있다. 창원 다호리(茶戶里) 유적에서는 대나무 바구니와 칠기(漆器)가 많이 나왔는데 칠의 성분이 중국의 것과 달라 이때부터 칠기를 만들어 쓴 사실을 알려주기도 한다.

독무덤은 크고 작은 항아리 또는 독을 2, 3개씩 이어 붙여 만든 것으로 동아시아에서는 중국·남만주·한국·일본 등에 널리 퍼진 양식이다. 중국 화북지방에서는 신석기시대부터 만들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움무덤과 함께 철기시대에 많이 쓰인 무덤이다. 독무덤이 나온 대표적인 유적으로는 광산 신창리(新唱里), 삼천포 늑도(勒島)가 있다(늑도유적, 신창리유적). 이들 유적에서는 독무덤이 여러 개 발견되었고 독널의 길이가 50~60㎝ 되는 것이 많아 크기로 보아서는 아이들 무덤인 것으로 볼 수 있지만 당시의 세골장(洗骨葬) 풍습과 관련해서 성인의 무덤도 포함되어 있다고 해석하기도 한다.

돌덧널무덤은 청동기시대의 돌널무덤[石棺墓]의 전통을 이어받아 대체로 같은 구조를 이루고 있으나 돌널무덤이 판자돌을 이용해 널을 짜 맞춘 데 비해 돌덧널무덤은 막돌을 쌓아 널을 만든 것이 다르다. 대전 괴정동(槐丁洞), 아산 남성리(南城里), 부여 연화리(連花里), 김해 회현리(會峴里) 등에서 나왔다.

철기시대 집터는 앞 시기에 있던 움집 전통을 계속 이어오고 있다.

춘천 중도(中島), 중원 하천리(荷川里)에서 발견된 집터들을 보면 긴 네모꼴의 움집으로 화덕시설이 커지는 특징을 보인다. 출토유물들로 철기와 함께 민토기·와질토기 등이 나온다. 생활쓰레기 터로서 남겨진 조개더미유적들은 남해안 바닷가와 섬지방에 많이 남아 있다. 일찍부터 알려진 김해 회현리 조개더미유적을 비롯해 웅천·성산·조도 등에서 발견되었고 해남 군곡리(郡谷里) 유적은 규모가 가장 큰 곳으로 다양한 생활상을 보여주는 유물들이 드러나 그 시대의 성격을 알 수 있게 한다.

제주 곽지(郭支)유적도 이 시기에 이루어진 생활유적이다. 철기시대를 특징짓는 토기로는 와질토기(瓦質土器)가 있다. 와질토기를 살펴보면 물레를 써서 정연한 형태를 이루고 있으나 구운 온도가 낮아 흡습성이 높으며 질이 무른 회색계통의 빛깔을 띤 그릇이다. 그릇 빛깔이나 모양으로 보아 중국 회도(灰陶)의 영향을 받은 것이다. 와질토기와 함께 아가리띠토기[粘土帶土器]·검은간토기[黑陶] 등이 이 시기에 사용된 토기들이다.

한편 움무덤에서는 유리구슬도 나와 이미 유리생산단계에 들어간 사실을 알 수 있다. 철의 생산을 직접적으로 알려주는 쇠부리터[冶鐵址] 유적도 여러 곳에서 나왔다. 가평 마장리(馬場里), 양평 대심리(大心里), 성산 조개더미유적 아래층에서는 쇠를 녹이던 자취들이 발견되었고 경주·울산 지역에도 쇠를 녹이던 쇠부리터들이 여러 곳에 있었던 것으로 나타난다.

이와 같이 철기시대는 생산력이 일정한 정도로 발전한 모습을 보여주는데, 이러한 생산력 발전을 바탕으로 이미 고대국가단계로 들어가는 과정에 있었다.

북쪽에서는 고조선의 마지막 단계인 위만조선이 등장하며 남쪽에서는 삼한의 소국들이 일어나는 단계가 된다. 따라서 철기시대는 이미 역사시대로 들어가 있었다고 보아야 한다.

다뉴세문경
다뉴세문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