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무덤

독무덤

다른 표기 언어 동의어 독장, 옹관묘

요약 독장·옹관묘라고도 한다. 청동기시대 이래 이른 철기시대를 거쳐 우리나라의 남부지역에서 오늘날까지도 남아 있는 오랜 전통의 무덤 양식 중 하나이다.
널로 쓰이는 항아리나 독이 1개이면서 넓적한 돌 같은 것으로 뚜껑을 덮은 것은 외독, 2개가 서로 아가리를 맞대고 뉘인 것은 이음독이라 하며, 3개를 이어서 만든 것도 발견되고 있다. 청동기시대의 것은 강이나 작은 냇가를 낀 들판과 붙어 있는 구릉지대에서 고인돌·움무덤·돌상자무덤 등과 함께 발견되고 있으며, 이른 철기시대의 것은 구릉지대와 산기슭, 조개더미에서 발견되었다. 삼국시대의 것은 야트막한 산기슭에 있는 경우가 많다.
청동기시대나 이른 철기시대의 유적은 강서·은율·신천·공주·광산·김해·부산 등지에서 발견되고 있으며, 이후 시기의 유적은 전국적으로 나타난다.

독무덤
독무덤

독장이나 옹관묘라고도 한다. 청동기시대 이래로 이른 철기시대를 거쳐, 우리나라의 남부지역에서는 오늘날까지도 남아 있는 오랜 전통의 무덤 양식 가운데 하나이다. 삼국시대의 것은 봉토가 있지만 그 앞 시기의 것은 땅 위에 무덤의 자취가 없기 때문에 지금까지 조사된 경우가 적다.

널[棺]로 쓰여지는 독이나 항아리가 1개이면서 넓적한 돌 같은 것으로 뚜껑을 덮은 것은 외독[單甕棺], 항아리나 독 2개가 서로 아가리를 맞대고 뉘인 것은 이음독[合口甕棺]이라 하며, 3개를 이어서 만든 것도 가끔씩 발견되고 있지만 이 가운데 이음독이 가장 널리 퍼져 있다.

독무덤이 있는 곳의 지세는 시기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는데, 청동기시대의 것은 강이나 작은 냇가를 낀 들판과 붙어 있는 구릉지대에서 고인돌·움무덤[土壙墓]·돌상자무덤[石箱墳] 등과 함께 발견되고 있으며, 이른 철기시대의 것은 구릉지대를 비롯하여 산기슭에서, 김해 회현리와 부산 낙민동유적과 같은 것은 조개더미에서 발견되었다. 그리고 삼국시대의 것은 야트막한 산기슭에 있는 경우가 많다. 청동기시대나 이른 철기시대의 유적은 강서·은율·신천·공주·광산·김해·부산 등지에서 발견되고 있으며, 그다음 시기에는 이러한 무덤의 전통을 이어받은 것이 전국적으로 나타나고 있어 보편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묻는 방법을 보면 대부분 수평으로 널이 놓여 있는 모습이지만 공주 남산리유적에서는 수직으로 놓인 것도 있어 다른 유적의 것들과 비교되며, 널로 쓰인 토기는 민무늬토기[無文土器]나 민무늬토기 계통의 적갈색 연질토기, 회색 삿무늬토기[繩蓆文土器]가 주로 이른 시기에 사용되었는데, 강서 태성리유적에서는 화분토기를 이용한 것도 있다.

묻힌 사람[被葬者]은 널의 크기로 보아 이른 시기에는 어린아이나 두벌묻기[二次葬]의 방법으로 어른을 세골장하였던 것 같으며, 삼국시대에는 나주 반남지역의 독무덤들처럼 강력한 권력을 가졌던 사람을 묻었던 것도 있지만 돌덧널[石槨]로 된 큰무덤 옆에 딸린 것이 발견되고 있어 독무덤의 복합성과 전통성을 보여주고 있다. 한편 딸린 독무덤은 어린아이가 묻힌 것으로 여겨져 큰무덤과 서로 관련이 있는 가족무덤의 한 형태로 이해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