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드라

파이드라

왕비

[ Phaedra ]

요약 영웅 테세우스의 후처이다. 전 부인의 소생 히폴리토스에 대한 사랑이 거절당하자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파이드라

파이드라

외국어 표기 Φαίδρα(그리스어)
구분 왕비
상징 금지된 사랑
어원 눈부시게 빛나는 여인
별칭 페드라(Phaedra)

파이드라 인물관계도

파이드라 인물관계도 축소판

파이드라는 크레타의 왕 미노스와 왕비 파시파에 사이에서 태어난 딸로 데우칼리온, 아리아드네와 형제지간이다. 크레타와 아테네 사이의 정략결혼으로 테세우스의 두 번째 아내가 되어 데모폰아카마스를 낳았다.

신화 이야기

개요

그리스 신화에서 파이드라는 크레타의 왕 미노스와 왕비 파시파에 사이에서 태어난 딸로 아리아드네와 자매지간이다. 크레타와 아테네 사이의 정략결혼으로 테세우스의 두 번째 아내가 되어 데모폰아카마스를 낳았다. 전처의 아들인 히폴리토스를 사랑하지만 자신의 소망이 이루어지지 않자 그를 모함하는 편지를 남기고 자살하였다. 파이드라는 고전시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예술 작품의 주제가 되었다.

파이드라

파이드라 작자 미상, 폼페이 벽화, 기원전 60년경, 영국박물관

테세우스와 히폴리테

아테네의 왕자 테세우스미노스 왕의 미궁(迷宮) 라비린토스에서 괴수 미노타우로스를 죽인 뒤 왕의 딸 아리아드네의 도움으로 미궁을 빠져나와 그녀와 함께 아테네로 떠났다. 하지만 아리아드네는 아테네로 가는 도중에 낙소스 섬에 버려지는 신세가 된다. 아테네로 돌아온 테세우스는 아버지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오른 다음 아마조네스 원정에 나서는데, 이때 아마존의 여왕 히폴리테(혹은 그녀의 여동생 안티오페)를 사로잡아 아내로 삼았다. 하지만 히폴리테는 납치된 여왕을 되찾기 위해 아마조네스들이 아테네를 공략했을 때 그 전투 과정에서 죽고 만다. 히폴리테는 그 사이에 테세우스에게 아들 히폴리토스를 낳아 주었다.

의붓아들을 사랑한 파이드라

한편 미노스 왕이 죽고 나서 크레타의 왕위에 오른 미노스의 아들 데우칼리온은 아테네와 동맹을 맺기 위해 누이동생 파이드라를 아테네의 왕 테세우스와 결혼시켰다. 하지만 새 왕비 파이드라는 그사이 아름다운 청년으로 성장한 전처의 아들 히폴리토스를 보자 첫눈에 반하고 만다. 일설에 따르면 파이드라가 히폴리토스를 사랑하게 된 것은 미의 여신 아프로디테의 작품이라고 한다. 아프로디테는 아름다운 히폴리토스를 사랑하여 구애하지만 거절당했는데, 히폴리토스는 처녀 신 아르테미스 여신의 열렬한 숭배자로 동정을 맹세하였기 때문에 아프로디테의 사랑을 받아들일 수가 없었던 것이다. 아프로디테는 이에 앙심을 품고 파이드라로 하여금 의붓아들에게 연심을 품게 만들었다는 것이다.

아무튼 파이드라는 히폴리토스를 향해 끓어오르는 연심을 억누르지 못하고 고백을 하지만 역시 냉정하게 거절당한다. 절망감과 수치심을 참을 수 없었던 파이드라는 오히려 히폴리토스가 자신을 유혹하고 겁탈하려 했다는 유서를 남기고 목을 매고 자살해 버렸다. 아내의 죽음과 유서를 발견한 테세우스는 아들 히폴리토스를 저주하면서 포세이돈에게 아들의 죽음을 빌었다. 얼마 뒤 히폴리토스는 해변에서 전차를 몰고 달리다 갑자기 나타난 괴수에 말들이 놀라는 바람에 낙마하여 즉사한다. 그 괴수는 포세이돈이 테세우스의 기도를 듣고 보낸 것이었다.

파이드라와 히폴리토스

파이드라와 히폴리토스 니콜라 다 우르비노, 1524년

신화 해설

페드라 콤플렉스

늙은 아비가 젊은 후처를 들였는데 이 젊은 어미와 장성한 의붓아들 사이에 연심이 싹터서 집안이 풍비박산 나는 이야기는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쉽게 찾아볼 수 있는 소재다. 요즘도 TV의 이른바 막장드라마에서 줄기차게 이런 관계를 다루고 있는 것을 보면 이것이 얼마나 우리의 삶과 가까운 현상인지 짐작할 수 있다. 정신분석학에서는 계부모와 의붓자식 간에 애정 관계가 생겨나는 이런 현상을 ‘페드라 콤플렉스’라고 부르며 연구 대상으로 삼고 있다. ‘페드라 콤플렉스’는 경우에 따라 성인 남성이 어린 여자에게 성적으로 끌리는 도착적 소아성애를 이르는 ‘로리타 콤플렉스(로리타 신드롬)’에 대비되는 개념으로 이해되기도 한다.

관련 작품

문학

파이드라는 고대부터 현대까지 수많은 비극 작품으로 만들어졌다.

• 에우리피데스, 『화관을 바치는 히폴리토스』, 그리스 비극, 기원전 428년
• 세네카, 『파에드라』, 로마 비극, 서기 1세기
• 장 라신, 『페드라』, 프랑스 고전주의 비극, 1677년
• 가브리엘레 단눈치오, 『페드라』, 비극, 1909년
• 마리나 츠베타예바, 『페드라』, 비극, 1927년
• 라 케인, 『페드라의 사랑』, 연출 작품
• 미구엘 드 우나무노, 『페드라』, 희곡, 1918년

음악

• 장 필리프 라모, 『히폴리테와 아리시에』, 오페라, 1733년
• 조반니 시모네 마이르, 『페드라』, 오페라, 1820년
• 벤저민 브리튼, 『페드라 주제에 의한 칸타타』, 1976년 초연
• 리 헤이즐우드, 『Some velvet morning』, 낸시 시내트라 노래, 1967년

영화

줄스 대신(감독), 『(국내 개봉 제목: ‘죽어도 좋아’)』, 1962년 - 파이드라 신화를 모티브로 한 이 영화에서 주인공 알렉시스는 젊은 계모 페드라와의 금지된 사랑에 괴로워하다 자동차를 몰고 절벽으로 추락한다. 페드라는 수면제를 먹고 자살한다.

파이드라 인물관계도 상세

※ 관계도 내 인명 클릭시 해당 표제어로 연결됩니다.

파이드라 인물관계도
미노스파시파에아이게우스아이트라데우칼리온안드로게오스아리아드네테세우스히폴리테데모폰아카마스히폴리토스

파이드라는 크레타의 왕 미노스와 왕비 파시파에 사이에서 태어난 딸로 데우칼리온, 아리아드네와 형제지간이다. 크레타와 아테네 사이의 정략결혼으로 테세우스의 두 번째 아내가 되어 데모폰아카마스를 낳았다.

참고자료

  • 에우리피데스, 『화관을 바치는 히폴리토스』
  • 세네카, 『파에드라』
  • 오비디우스, 『변신이야기』
  • 오비디우스, 『헤로이데스』
  • 토마스 불핀치, 『그리스 로마 신화』
  • M. 그랜트, J. 헤이즐, 『』, 범우사
  • 피에르 그리말, 『』, 열린책들
  • W. H. Roscher, 『Ausführliches Lexikon der griechischen und römischen Mythologi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