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오개산대놀이
애오개산대놀이는 18세기에 성립된 본산대놀이 가면극이며, 서울 애오개 지역에서 전승되었다. 애오개는 서대문네거리에서 충정로삼거리를 지나 마포구 아현동으로 넘어가는 고개로서, 조선 후기 서울의 3대 시장 가운데 하나인 칠패시장과 인접한 지역이다. 본산대놀이는 서울의 애오개, 사직골 등에 있었던 산대놀이를 가리키는 명칭으로서, 양주와 송파 등지의 별산대놀이와 구별하기 위한 명칭이다.
강이천(姜彛天, 1769-1801)의 한시 〈남성관희자(南城觀戱子)〉는 그가 열 살 때인 1778년 남대문 밖에서 인형극과 가면극을 보고, 11년 후인 1789년에 지은 시이다. 이 시의 뒷부분에서 서울 본산대놀이의 내용을 살펴볼 수 있다. (☞ 남성관희자 항목 참조)
강이천이 남대문 밖에서 본 가면극에서는 상좌, 선녀, 노장, 젊은 계집(소매), 취발이, 늙은 유생(샌님), 포도부장, 거사, 사당, 할미 등 여러 등장인물이 가면을 쓰고 나온다. 오늘날의 양주별산대놀이나 봉산탈춤과 연희 내용이 같고, 동일한 배역들이 상당수 발견되는 점으로 보아, 이 시는 애오개(아현)의 본산대놀이를 구경하고 지은 것으로 추정된다.
애오개 산대놀이와 같은 본산대놀이의 연희자는 성균관에 속한 노비집단인 반인들이다. 본산대놀이는 삼국시대 이래 전승되어 온 산악, 백희 계통의 가면희와 연희를 바탕으로 혁신적으로 재창조해낸 가면극이다. 본산대놀이 계통 가면극들은 사회 풍자적인 희극으로, 사회적인 불평등으로 인한 현실적인 문제들을 비판적으로 제시한다. 가면을 쓰고 공연하는 연희는 18세기 이전에도 존재했지만, 특히 본산대놀이는 등장인물의 성격을 잘 반영하여 가면으로 형상화했다.
참고문헌
- 전경욱, 『한국의 전통연희』, 학고재, 2004.
- 전경욱, 『한국의 가면극』, 열화당,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