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광묘

왕광묘

[ 平壤 王光墓 ]

지역 평양
왕광묘 전경

왕광묘 전경

평양시 락랑구역 정백동(舊地名 : 평남 대동군 대동강면 정백리)에 위치한 정백리 127호분이다. 1932년 조선고적연구회 제2차년도 조사사업의 일환으로 조사된 동혈합장(同穴合葬)의 귀틀무덤으로서, 귀틀곽에 2개의 나무널(木棺)이 안치되어 있는 구조이다. 서쪽 널에서 명문이 새겨진 목제 도장이 출토되어 ‘왕광묘’라고 불린다.

봉분은 지표에서 높이 3~4m 내외, 직경은 동~서 1.8m, 남~북 2.7m 내외인데, 후대의 삭평이 심해 원래의 형태를 정확히 추정하기는 어렵다. 먼저 깊이 2m 정도의 무덤구덩이를 판 뒤, 각재를 이용하여 3.3m×3.6m 규모의 귀틀곽을 만들고 널과 부장품을 안치하였다. 천장에는 횡목을 한 후 각재를 덮고 벽돌을 2층으로 깔았으며, 그 위에 다시 봉토를 조성하였다. 나중에 분구를 4.48×5.58m의 장방형(長方形) 범위로 흙을 제거하여 천장 부분의 벽돌과 목재를 들어내면서 남쪽으로 폭 2.96m 정도의 세장(細長)한 널길(羨道)을 만들어 추가로 널을 안치함으로써 2차장을 치렀다.

귀틀곽 동남쪽에는 두께 9㎝ 정도의 세장한 판재를 6매 결합하여 2.34×1.65m 규모의 안덧널(內槨)을 설치하여 2개의 널을 안치하였는데, 서쪽 널은 길이, 너비, 높이가 2.09×0.65×0.61m 전후이고, 동쪽 널은 2.06×0.62×0.59m 전후이다. 서쪽 널의 피장자는 왕광이라는 남성이고, 동쪽 널에는 그의 부인이 안치되었다.

부장품은 널 내부와 부장공간에서 모두 200여 점이 출토되었다. 서쪽 널에서는 목인(木印) 2점, 철장검(鐵長劍) 1점, 대구(帶鉤) 2점 등과 직물편이 다수 출토되었으며, 동쪽 널에서는 반지, 귀걸이, 각종 구슬 등과 함께 인골이 출토되었는데, 이 인골은 분석결과 30세 전후의 여성으로 밝혀졌다. 특기할 사항은 피장자의 관직과 성명을 표시해주는 도장이 출토되었다는 점이다. 도장은 ‘낙랑태수연왕광지인(樂浪太守연王光之印)’과 ‘신광(臣光)’이 양면에 새겨진 목인 1점과 ‘왕광사인(王光私印)’이라 새겨진 비뉴목인(鼻뉴木印) 1점이다.

귀틀곽 내부의 부장공간은 서실과 북실, 서북실의 세 공간으로 나뉘는데, 서실에는 2단의 시렁을 만들어 시렁 위에 칠갑(漆匣)과 칠안(漆案)을 두었으며, 칠안 위에는 칠이배(漆耳杯), 염(염), 호(壺) 등을 올려 두었다. 북실에는 큰독(大甕) 3점와 함께 칠기류와 마구, 무구 등이 안치되었으며, 서북 구역의 상부에는 큰독이 부서져 있었고 그 아래에 칠기류의 파편과 벽돌, 목편 등이 백색 점토와 뒤섞여 있었다.

칠기는 모두 80여 점이 출토되었는데, 재질로는 협저제(夾紵製)와 목제(木製)가 있다. 그 중 다수의 칠기에서 피장자인 ‘왕광’과 관련된 길상구가 적혀 있는 점이 주목되는데, 과반(果盤)에는 바닥의 내면에 ‘□뢰(□牢)’, ‘거왕□(巨王□)’이 적혀 있으며, 안(案)과 이배, 반반(飯盤), 염에는 ‘이왕(利王)’, ‘왕대리(王大利)’, ‘익광(益光)’, ‘왕씨뢰(王氏牢)’ 등의 명문이 적혀 있다. ‘장수연년의자손(長壽延年宜子孫)’이라는 길상구가 새겨진 대갑(大匣)도 출토되었다. 한편 노기(弩機)가 나무자루에 장착된 채 출토되어 벽화에서 확인되던 노기의 실물 자료를 얻게 되었다. 그 외 일산(日傘)자루와 대끝, 화장용의 솔 및 붓 등이 출토되어 당시 생활상의 생생한 자료를 제공해 주고 있다.

무덤의 연대를 추정할 수 있는 유물로는 토기와 동경이 있는데, 토기는 화분형토기, 입큰항아리(廣口短頸壺)와 함께 회백색의 대형 독이 부장되었으며, 입큰항아리에서는 표면에 흑칠한 흔적도 확인된다. 동경은 길상구가 새겨진 방격규구사신경(方格規矩四神鏡)과 이체자명대경(異體字銘帶鏡)이 출토되었는데, 2점 모두 기원 전후 시기로 편년된다.

이 무덤은 구조와 부장품의 배치 및 구성에서 석암리 194호분, 석암리 201호분 등과 유사하며, 동경의 연대를 통해 볼 때 B.C. 1세기 전반으로 편년된다.

참고문헌

  • 樂浪王光墓(小場恒吉 外, 1935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