덧무늬토기

덧무늬토기

[ 隆起文土器 ]

덧무늬토기는 우리나라 신석기시대의 가장 이른 단계인 조기(早期)로 편년되는 토기로 그릇의 표면에 점토띠를 덧붙여 각종 문양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덧무늬는 점토띠의 굵기나 점토띠 상부에 누름문(刻目文)의 유무에 따라 태선융기문토기(太線隆起文土器)와 세선융기문토기(細線隆起文土器), 혹은 융기대문(隆起帶文)과 융기선문(隆起線文)으로 크게 구분되며, 이 외에도 점토 알갱이를 규칙적으로 붙인 융기점열문(隆起點列文), 혹은 두립문(豆粒文)이 있다. 과거 융기대문토기와 융기선문토기의 선후관계를 두고 열띤 논쟁이 있었으나 이들의 선후관계를 분명히 할 수 있는 단일성격의 유적이 극히 드물고 대부분 같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가장 많은 수가 출토되고 있는 남해안지역의 경우 유적별로 기형(器形)이나 문양구성에 있어서 차이를 나타내고 있기 때문에 비교적 장시간에 걸친 형식변화를 수반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기형(器形)은 저부의 형태에 따라 평저(平底)와 원저(圓底)로 구분되며, 평저심발형토기의 경우 저부가 아주 좁아 마치 팽이와 같은 형태를 띠는 것들이 남해안지역에서 많이 확인되고 있다. 이러한 형태적 특징에 의하여 과거에는 청동기시대의 중서부지역 팽이형토기(角形土器)의 영향을 받아 발생한 남해안지역 신석기시대 가장 늦은 단계의 것으로 편년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그 이후 남해안의 상노대도(上老大島), 신암리(新岩里), 욕지도(欲知島), 연대도(煙臺島), 돌산송도(突山松島)를 비롯하여 동남해안의 양양 오산리(鰲山里), 울산 우봉리(牛峯里) 등의 유적들이 조사되면서 층위적으로 가장 이른 단계의 것으로 인정되고 있다. 현재 이 토기의 편년은 4단계로 구분되는데, 1단계는 문양의 시문부위가 동체부에 집중되며 저부가 비교적 넓고 기고(器高) 대 구경(口徑)의 비율이 1 이상인 심발형이 많다. 2단계는 문양대의 아랫부분 구획이 없어지고 저부가 극히 좁은 평저로 변하면서 기고 대 구경의 비율이 1 이하에 가까워지는 발형(鉢形)이나 완형(盌形)토기의 비율이 증가하면서 침선문이 복합되는 경우가 나타난다.

3단계는 문양이 구연부까지 나타나며, 저부의 형태는 평저에서 원저로 변화하는 과도기적 특징을 보여준다. 4단계는 기형(器形)이 대부분 첨저(尖底)나 원저형으로 변화하며 심발형보다 완형토기의 비율이 증가하고 새로운 기형인 호형토기(壺形土器)가 공반되는 특징을 보여준다. 문양은 융기문양이 퇴화하거나 침선문양(沈線文樣)과의 복합비율이 증가하고 구연부에서 시작되며 구순부(口脣部)에는 각목문(刻目文)이 나타난다. 이러한 제반 특징은 이후에 나타나는 조흔문토기(條痕文土器)나 압인문토기(押引文土器)와의 편년적 관계를 잘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이 토기의 분포범위는 우리나라 남해안을 중심으로 중서부지역의 단양 상시(上詩) 3동굴 유적, 대동강연안의 청호리(淸湖里) 유적, 그리고 동북지역의 함경북도 서수라(西水羅) 유적에서도 확인된 바 있다.

그러나 과거 남해안지역 패총유적에서 주로 확인되었기 때문에 지역적 성격의 문화로 간주하고 해협을 끼고 마주하는 일본 죠몽문화(繩文文化) 조기말(早期末) 혹은 전기(前期) 전반(前半)으로 편년되는 도도로끼식토기(轟式土器)와 관련시킨 연구가 한때 주를 이루기도 하였다. 평행 융기선과 조흔문이 복합된 일본 도도로끼식토기의 경우 태토와 소성, 형태, 문양구성 등에서 융기선문이라는 요소 외에는 뚜렷한 관련성을 찾기 어렵지만, 상한연대가 6300 B.P.이며 우리나라 남해안의 패총유적에서 확인되는 탄소연대도 이 이상 나타나지 않았기 때문에 거의 동시대적 문화로 간주하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고환경 자료에 의한 지질학적 연구 성과에 의하면 이 시기는 후빙기 이후 해수면이 현위치까지 상승하여 패총유적이 형성되기 시작하는 단계로 융기문토기는 패총 형성 이전에 이미 존재하였다는 증거가 확인되고 있다. 특히 남부지역의 유일한 융기문토기 단일유적인 울산 우봉리 유적의 경우 해안 단구상에 위치하고 있음에도 패각이나 바다자갈이 1점도 출토되지 않아 보고서에서 융기문토기는 해수면 상승 이전에 존재하고 있었다고 기술하고 있다. 그런데 같은 울산의 세죽 패총 유적에서는 융기대문(隆起帶文)토기에 부착된 탄화물을 이용하여 연대 측정한 결과 6480±120 B.P.와 6260±250 B.P.의 연대가 확인되어 사실상 해수면 상승기나 그 직전의 연대에 해당한다.

그런데 동해안 오산리 유적에서는 압인문토기 단계의 절대연대가 8000∼6000 B.P.로 나타났고 여기에 남해안지역의 압인문토기 단계의 유물이 공반되어 상호 시기적으로 동시기에 존재하였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융기문토기는 이들 지역에서 이보다 이른 단계로 편년되고 있으므로 세죽 유적에서 확인되었던 절대연대 결과와는 일치하지 않는 부분이 있다. 이러한 점은 향후 지속적으로 해결되어야할 과제가 될 것이다.

한편 과거부터 우리나라 융기문토기의 원류로 보아왔던 시베리아 아무르강 중류역의 노보페트로프카(Novo-petrovka) 유적 출토 융기문토기 내부의 탄화물을 1998년 연대측정한 결과 13000∼9000 B.P.라는 측정치가 확인되었다. 일본 죠몽문화 초창기(初創期) 단계의 융기문토기 역시 과거부터 이와 유사한 연대측정치가 많이 확보되면서 12000년 이전부터 10000년 전의 초창기 단계로 편년하고 있다. 이 토기의 분포는 시베리아 아무르강 연안지역으로부터 중국 동북지역, 한반도, 그리고 일본의 경우 북해도(北海道)를 제외한 구주(九州)와 서국(四國), 본주(本州) 북단까지 나타나고 있음을 참고한다면 우리나라 융기문토기도 동북아시아 초기 신석기문화에 나타나는 융기문토기 문화와 어떠한 형태로든 깊은 관련성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덧무늬토기 본문 이미지 1

참고문헌

  • 東北아시아 隆起文土器硏究의 諸問題-江原道考古學의 諸問題(李東注, 韓國先史考古學會, 1998년)
  • 韓國 先史時代 南海岸 有文土器 硏究(李東注, 東亞大學校 博士學位論文, 1996년)
  • 新石器時代 韓·日文化交流(任孝宰, 韓國史論 16, 國史編纂委員會, 1986년)
  • 南海岸地方 隆起文土器에 대한 硏究(鄭澄元, 釜大史學 9, 釜山大學校, 1985년)
  • 地域的比較(韓永熙, 韓國史論 12, 韓國의 考古學Ⅰ, 國史編纂委員會, 1983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