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지방우정청

부산지방우정청

[ Busan Regional Communications Office , 釜山地方郵政廳 ]

요약 부산광역시·울산광역시·경상남도 지역의 우체국을 관할하는 우정사업본부 직할기관.
구분 행정기관
설립일 1934년 10월 01일
설립목적 부산·울산·경남 지역의 우체국 관할
주요활동/업무 우편, 우편환, 우체국쇼핑, 국제특급우편(EMS), 우체국예금, 우체국보험
소재지 부산광역시 연제구 법원북로33(거제동 1473)
가입국가 우편, 우편환, 우체국쇼핑, 국제특급우편(EMS), 우체국예금, 우체국보험
규모 관내 우체국 483국, 우편취급국 149개소(2011년 5월)

1934년 10월 부산우편국에서 부산체신분장국으로 독립한 뒤, 1940년 1월 부산지방체신국으로 개칭하였다. 1949년 8월 부산체신청으로 명칭을 바꾸었으며, 같은 해 11월 광주체신청 개청으로 전라남도, 제주도 관할 업무를 이양하고, 1971년 1월 대구체신청 개청으로 경상북도 관할 업무를 이양하였다. 1982년 1월 한국전기통신공사(현 KT) 설립으로 전신·전화 업무를 이양하고, 2005년 6월 현 청사로 이전하였다. 2008년 7월 직제 개정 되어 정보통신국 폐지로 정보통신사업 및 전파방송관리업무가 방송통신위원회와 문화체육관광부, 지방자치단체로 업무를 이양하였다. 2011년 5월30일자 직제조정으로 부산지방우정청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주요 업무는 우편, 우편환, 우편대체, 우체국쇼핑, 우체국예금, 우체국보험사업 등이다. 우편업무로는 국내우편, 우체국쇼핑, 우체국택배, 국제특급우편(EMS), e-그린우편, 우체국 경조카드, 꽃배달 서비스, 열차권 예매, 기타 특수취급우편, 우편물 종적조회 안내, 상품권 판매 등에 관한 업무를 수행한다.

우체국예금으로는 입출금이 자유로운 예금, 목돈마련예금, 세금우대예금, 비과세상품 등이 있고, 우체국보험에는 질병 상해 치료비 보장 보험, 노후준비 연금보험, 목돈마련 보험, 저소득층 등을 위한 공익형 보험 등이 있다. 우체국 전자금융 및 해외송금 서비스, 공과금 수납 등의 금융 서비스 등을 실시한다.

조직은 청장 밑에 감사관실, 우정사업국(우정계획과, 우편영업과, 우편물류과), 사업지원국(총무과, 인력계획과, 회계정보과), 금융영업실(예금영업과, 보험영업과, 금융검사과)로 구성되어 있다. 2011년 5월 현재 관내 우체국은 483국이고, 우체국 창구 기능을 담당하기 위해 설치한 우편취급국은 149개소이다. 부산지방우정청을 포함하여 전국의 지방우정청은 모두 9개이다(서울·경기·전북·전남·경북·충청·강원·제주 지방우정청). 부산광역시 연제구 법원북로 33(거제동 1473번지)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