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당동

행당동

[ Haengdang-dong , 杏堂洞 ]

요약 서울특별시 성동구에 있는 법정동.
정몽구 미래자동차연구센터

정몽구 미래자동차연구센터

위치 서울특별시 성동
면적(㎢) 1.49㎢
행정구분 법정동
문화재 아기씨당(성동구 향토문화재), 행당동 아기씨당 무신도(서울특별시 민속문화재), 행당동 아기씨 당굿(서울특별시 무형문화재)

목차

  1. 역사
  2. 현황

서울특별시 성동구에 있는 법정동으로, 행정동사근동(일부), 행당제1동, 행당제2동이 관할한다. 북쪽으로는 도선동·마장동·하왕십리동·홍익동, 동쪽으로는 사근동, 서쪽으로는 금호동1가, 남쪽으로는 성수동1가·응봉동과 접한다. 전체 면적은 1.49㎢로 성동구 전체 면적의 8.9%를 차지한다.

역사

조선시대 초기에는 한성부 성저십리에 속한 지역이었다. 영조 때에는 한성부 남부 두모방(성외) 신촌리계에 속했고, 갑오개혁 이후에는 한성부 남서(南署) 두모방(성외) 신촌리계의 행당리동과 전관1・2계의 전관동이 되었다. 1911년 4월 1일 경성부 두모면 행당리 전관동이 되었다가, 1914년 4월 1일 경기도 고양군 한지면 행당리 전관동으로 개편되었다. 1936년 4월 1일 다시 경성부에 편입되어 행당정으로 개칭되었으며, 1943년 6월 10일 구(區)제도의 실시로 성동구 관할의 행당정이 되었다. 광복 후 1946년 9월 28일 경기도 관할에서 분리되어 서울시로 승격되었으며, 같은 해 10월 1일 행당정에서 행당동으로 개칭되어 오늘날의 서울시 성동구 행당동이 되었다.

행당(杏:살구 행, 堂:집 당)이라는 지명은 이 지역에 위치한 아기씨당에 살구나무은행나무가 많이 심어져 있었다는 데에서 유래하였다.

현황

남서쪽으로 대현산이 위치하여 주변 일대에 경사지가 분포한다. 남쪽으로는 한강의 지류인 중랑천이 흐르며 동의 일부 경계를 이루고, 성동교를 통해서 성수동1가와 연결된다. 왕십리역 북쪽 일대에는 성동구청을 비롯하여 성동구의회, 서울특별시 성동광진교육지원청, 서울성동경찰서, 서울특별시립 성동청소년센터, 서울성동구 육아종합지원센터 등 성동구의 주요 기관들이 모여 위치한다. 또한 동쪽 일대에는 사근동에 걸쳐 한양대학교 서울캠퍼스가 자리잡고 있고, 한양대학교와 인접한 마조로 골목 일대를 중심으로 왕십리맛골목이라는 먹자골목이 조성되어 있다. 그 외의 지역은 대부분 주거 지역으로 많은 아파트 단지가 들어서 있으며 상업 시설이 혼재한다. 한편, 왕십리역 앞에 조성된 왕십리광장에는 김소월의 왕십리시가 담긴 시비, 사랑의 시계탑 등이 있으며, 이곳에서는 매년 9월 말 열리는 세계 민속춤 축제를 비롯하여 다양한 행사와 축제가 개최된다.

고산자로, 난계로, 마조로, 왕십리로, 행당로 등이 행당동을 지난다. 철도 시설로는 수도권전철 경의중앙선이 왕십리역을, 서울지하철 2호선이 왕십리역과 한양대역을, 5호선이 왕십리역과 행당역을, 수인분당선이 왕십리역을 경유하여 교통의 요지를 이룬다.

교육기관은 2023년 기준 고등학교 2개교(덕수고등학교 행당분교, 무학여자고등학교), 중학교 2개교(무학중학교, 행당중학교), 초등학교 2개교(서울행당초등학교, 서울행현초등학교) 등이 있다.

주요 상업시설에는 행당시장, 한양시장, 롯데마트 행당역점, 이마트 왕십리점 등이 있다. 기타 공공기관 및 공공시설로는 행당제1동주민센터, 행당제2동주민센터, 성동소방서, 서울성동우체국, 성동구립도서관, 대현산체육관, 소월아트홀 등이 있다.

문화재로는 아기씨당(성동구 향토문화재), 행당동 아기씨당 무신도(서울특별시 민속문화재), 행당동 아기씨 당굿(서울특별시 무형문화재) 그리고 한양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아날로그 전자계산기 3호기(국가등록문화재) 등이 있다. 그리고 1980년 건립된 철근 콘크리트조 건축물인 한양대학교 박물관이 서울미래유산으로 지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