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수시의 사회문화

여수시의 사회문화

전남대학교 여수캠퍼스

전남대학교 여수캠퍼스

교육기관

조선시대에 지금의 여수군은 순천도호부에 속하여 순천향교가 여수 지역의 공공 교육기관 역할을 하였으며, 1896년 돌산군에 이어 1897년 여수군이 신설되어 돌산향교여수향교가 창건되었다. 이밖에 조선 후기에 지금의 선원동에 있었던 가곡재(佳谷齋)를 비롯하여 종명재(鍾鳴齋)·봉명재(鳳鳴齋)·여일재(麗一齋)·경호재(京湖齋)·송천정사(松川精舍)·일수재(日修齋) 등의 서당들이 사학(私學)의 역할을 하였다.

근대 교육기관은 1908년에 설립한 사립 경명학교를 모태로 하여 1911년 지금의 군자동 진남관에서 개교한 여수공립보통학교가 1935년 서교동으로 이전한 뒤 여수서정공립심상소학교·여수서정공립국민학교 등의 변천을 거쳐 지금의 여수서초등학교로 이어진다. 또한 1910년에 설립된 취성학교를 모태로 하여 1911년에 개교한 돌산공립보통학교가 돌산공립심상소학교·돌산국민학교 등의 변천을 거쳐 1999년 금성초등학교를 통폐합하여 지금의 돌산초등학교로 이어진다. 이밖에 1921년 소라공립보통학교(지금의 소라면 소라초등학교)와 남면사립보통학교(지금의 남면 여남초등학교), 1924년 화양사립보통학교(지금의 화양면 화양초등학교), 1928년 율촌공립보통학교(지금의 율촌면 율촌초등학교), 1930년 쌍봉공립보통학교(지금의 학동 쌍봉초등학교), 1932년 화정공립보통학교(지금의 화정면 화정초등학교), 1936년 율촌공립보통학교 부설 상여간이학교(지금의 율촌면 율촌초등학교 상봉분교장), 1938년 옥정공립심상소학교(지금의 화정면 안일초등학교 백야분교장)와 사립미평심상소학교(지금의 미평동 여수미평초등학교), 1939년 여천공립심상소학교(지금의 공화동 여수동초등학교) 등이 개교하였다.

중등교육기관은 1938년 관문동에서 개교한 여수공립고등여학교가 1951년 여수여자중학교여수여자고등학교로 분리되어 지금에 이르고, 1946년에 개교한 여수공립중학교가 지금의 공화동 여수중학교와 수정동 여수고등학교로 이어진다. 1947년에는 여수공학원이 설립되어 지금의 동산동 여수종고중학교여수공업고등학교로 이어지고, 뒤이어 1952년 여천남중학교(지금의 돌산읍 돌산중학교)와 여항중학교(지금의 봉강동 진성여자중학교), 1953년 소라면 여수삼일중학교, 1958년 여수상업고등학교(지금의 문수동 여수정보과학고등학교), 1960년 삼산면 거문중학교, 1966년 남면 여남중학교, 1967년 여향실업고등학교(지금의 봉강동 진성여자고등학교)와 소라면 여양중학교, 1969년 여양실업고등학교(지금의 소라면 여양고등학교) 등이 개교하였다. 이밖에 1980년 돌산실업고등학교(지금의 돌산읍 여수해양과학고등학교), 1999년 화장동 여수석유화학고등학교 등이 개교하였다.

고등교육기관은 1917년에 개교한 여수공립간이수산학교가 여수공립수산중학교·여수수산고등학교·여수수산고등전문학교·여수수산전문학교를 거쳐 1979년 여수수산전문대학, 1987년 4년제 여수수산대학, 1998년 국립 여수대학교로 개편된 뒤 2003년 종합대학으로 승격되었으며, 2006년 전남대학교에 통합되어 여수캠퍼스가 되었다. 2021년을 기준하여 교육기관은 대학교 1개교(전남대학교 여수캠퍼스)와 전문대학 1개교(한영대학교), 고등학교 15개교, 중학교 26개교, 초등학교 61개교 등이 있다. 학생 수는 3만 7586명으로 도내 22개 시·군 가운데 순천시·목포시 다음으로 많다.

공공시설

공공 도서관은 웅천동 이순신도서관, 학동 쌍봉도서관, 덕충동 현암도서관, 문수동 환경도서관, 돌산읍 돌산도서관, 소라면 소라도서관, 율촌면 율촌도서관 등 시립 도서관 7개소와 전남교육청 산하의 화장동 학생교육문화회관, 이밖에 여서동의 여문늘벗작은도서관을 비롯한 40여 개소의 공·사립 작은도서관이 조성되어 있다. 2021년을 기준하여 의료기관은 종합병원 3개소(여수전남병원·여수제일병원·여천전남병원)와 병원 7개소, 한방병원 2개소, 요양병원 11개소, 보건소 1개소 등이 있다. 언론 매체는 지상파 텔레비전방송사 2개소(여수문화방송·KBC동부방송본부)와 라디오 방송사 1개소, 케이블텔레비전 방송사 1개소, 주간 신문사 7개소와 인터넷 신문사 29개소 등이 있다.

공공 체육시설은 오림동에 축구장·육상트랙을 갖춘 진남종합운동장을 비롯하여 진남체육관·테니스장·야구장·실내야구연습장·복합구장·게이볼장·족구장·유도장·씨름장·국궁장(군자정)·롤러경기장 등으로 이루어진 진남체육공원과 진남수영장·장애인국민체육센터 등이 조성되어 있다. 이밖에 시전동에 주경기장·망마체육센터·테니스장·트라이애슬런경기장·국궁장(무선정)·게이트볼장 등으로 이루어진 망마경기장, 학동에 흥국체육관·시립테니스장, 웅천동에 이순신공원 테니스장, 국동에 국동복합체육시설, 돌산읍에 돌산체육관과 진모축구장 등이 조성되어 있다.

문화·전시·공연 시설은 광무동에 대공연장·전시실 등을 갖춘 여수시민회관과 소공연장·전시실 등을 갖춘 진남문예회관, 덕충동에 여수엑스포컨벤션센터·엑스포아트갤러리와 아르떼뮤지엄여수, 만흥동에 미디어아트 전시관 녹테마레, 학동에 여수 지역의 첫 사립 미술관으로 개장하여 다채로운 전시·공연을 선보이는 여수미술관, 고소동에 지역 예술인들의 예술작품을 전시하는 달빛갤러리, 종화동에 향토문화를 보존·계승하고 다양한 지역 문화행사를 주관하는 여수시문화원, 율촌면에 조선시대부터 현대에 이르는 여수의 생활상을 조망하는 향토사 자료 등을 전시하는 여수민속전시관 등이 있다.

문화행사 및 축제

한 해를 보내는 12월 31일과 1월 1일에 걸쳐 향일암에서 향일암일출제가 열려 소원성취 퍼레이드와 사물판굿·낭만버스킹, 소원 촛불 밝히기 등의 행사를 통하여 새로운 한 해를 맞이한다. 4월에는 진달래 군락지로 유명한 영취산의 흥국사 산림공원 일원에서 영취산 진달래축제가 열려 건강과 행복을 기원하는 산신제를 시작으로 축하 공연과 산상음악회, 진달래 꽃맵시 선발대회를 비롯하여 각종 체험 행사가 진행된다. 5월 초에는 충무공 이순신의 구국정신과 호국충절을 기리는 여수거북선축제가 여수시 일원에서 열려 고유제(告由祭)와 통제영 길놀이, 소년 이순신장군 선발대회, 전라좌수영 보물찾기, 용줄다리기와 멀티미디어쇼를 비롯하여 다양한 공연·전시·체험 행사가 펼쳐진다. 8월경에는 거문도백도은빛바다체험행사가 거문도 삼호교 물양장 일원에서 열리고, 9월경 여수여자만갯벌노을체험행사가 소라면 해넘이길 일원에서 열린다. 이밖에 9~10월경에는 중앙동 이순신광장과 장군도 해상 일원에서 여수밤바다불꽃축제가 열리고, 10~11월경 책을 테마로 하는 여수동동북축제가 학동 용기공원 일원에서 열린다.

문화재

국가 지정 문화재는 국보 1점(여수 진남관)과 여수 흥국사 대웅전·여수 통제이공 수군대첩비·여수 타루비·여수 흥국사 목조석가여래삼존상을 비롯한 보물 13점, 여수 충민사·여수 선소유적을 비롯한 사적 4개소와 명승 2개소(여수 상백도·하백도 일원, 여수 금오산 항일암 일원), 천연기념물 1점(여수 낭도리 공룡발자국 화석산지)과 국가민속문화재 1점(여수 연등동 벅수) 등이 있다. 이밖에 1930년경 건립되어 일제강점기에 여수 지방 항일구국운동의 근거지 역할을 한 '여수 구 청년회관'을 비롯한 8점이 국가등록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도 지정 문화재는 여수석인·흥국사 원통전·돌산 군관청을 비롯한 전남유형문화재 6점과 전남무형문화재 3점(거문도뱃노래·현천 소동패놀이·각자장), 돌산 평사리 고니 도래지·여수 오림동 지석묘군·여수 고락산성을 비롯한 전남기념물 5점, 전남민속문화재 2점(여수 영당지·여수 약공청 관련자료일괄), 흥국사·은적암·향일암·돌산향교·여수향교를 비롯한 전남문화재자료 11점 등이 있다.

카테고리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