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천 소동패놀이

현천 소동패놀이

[ 玄川 少童패놀이 ]

요약 전라남도 여수시 소라면 현천리에 전승되어온 소동패의 협동노동 모습을 엮은 놀이. 1982년 10월 15일 전라남도 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현천 소동패놀이

현천 소동패놀이

지정종목 시도무형유산
지정일 1982년 10월 15일
소재지 전라남도 여수시
기예능보유자 정순원, 정양수, 정홍수
종류/분류 무형유산

1982년 10월 15일 전라남도 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소동패는 16세부터 19세까지의 소년을 말하며, 소동패가 생긴 목적은 농사에 필요한 노동력을 확보하는 데 있었다. 소동패는 조직의 규약을 철저히 지키며 우두머리를 중심으로 풀베기·김매기 등 공동 노동을 하였는데, 이때 일의 능률을 올리고 노동의 고달픔과 지루함을 잊기 위하여 농악·노래·춤·놀이 등을 생활화한 것이 소동패놀이이다.

전개 내용을 보면 아침 일찍 일터로 가기 위해 아침 식사를 재촉하는 조반소고(朝飯小鼓), 영기를 세워놓고 일터로 빨리 모이라는 모임소고, 이어 전원이 모여 일터로 가면서 행하는 길소고 등으로 이어지는데, 논을 맬 때는 《논매기노래》를 하면서 놀이를 계속한다.

논을 매고 있을 때 다른 마을의 대동패가 대동길굿을 치면서 나타나 전갈을 청하는 전갈청하기를 하면, 이들의 요청에 의해 전갈을 올리는 전갈올리기가 행해지면서 양편이 서로 영문을 잡고 힘겨루기, 밀치기, 한량겨루기를 한다. 이때 승패가 끝나면 양 패가 어울려 농악을 치면서 일체감을 조성한다. 이때의 농악은 기교를 부리지 않은 꽹과리 가락에 법고놀이가 주축을 이루며, 민요는 박진감 넘치는 경쾌한 가락으로 동작과 놀이에 따라 다양하게 펼쳐지는데 《논매기노래》《등화타령》《허령타령》《개고리타령》《방애타령》등을 부른다.

1981년 인천에서 열린 제22회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에서 최우수상을 수상하였으며 기능보유자로 정순원, 정양수, 정홍수가 있다. 소고(버꾸)를 맡은 정순원은 1910년 12월 20일 생으로 전라남도 여수시 미평동에 살고 있다.

참조항목

농악, 소라면, 여수시

카테고리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