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수 흥국사 대웅전

여수 흥국사 대웅전

[ Daeungjeon Hall of Heungguksa Temple, Yeosu , 麗水 興國寺 大雄殿 ]

요약 전라남도 여수시 중흥동 흥국사에 있는 법당. 1963년 9월 2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여수 흥국사 대웅전

여수 흥국사 대웅전

지정종목 보물
지정일 1963년 9월 2일
소재지 전라남도 여수시 흥국사길 160 (중흥동) / (지번)전라남도 여수시 중흥동 17
시대 조선시대 중기
종류/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불전
크기 정면 3칸, 측면 3칸

1963년 9월 2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정면 3칸, 측면 3칸의 단층 팔작지붕이다.

조선 중기의 건축으로 갑석(甲石)이 있는 단층 기단 위에 세워졌으며 정면 3칸은 기둥 사이를 같은 간격으로 분할하고 각각 4분합(四分閤)의 빗살문을 달아 전부 개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 빗살문은 상부를 구분하여 교창(交窓) 모양으로 의장하였으므로 문짝의 키가 높으며 따라서 주고(柱高)도 높이 잡았다. 공포(栱包)의 구성은 내외삼출목(三出目)으로 우설(牛舌)은 앙설(仰舌) 셋과, 수설(垂舌) 하나이다. 공간포(空間包)는 전면 주간(柱間)에 똑같이 3개씩 배치하였다. 내부의 첨차(檐遮)는 원호곡선이 짧으며 대들보 위에는 우물천장을 가설하고 바닥에는 마루를 깔았다.

카테고리

  • > > >
  • > > >
  • > > >
  • > > >

관련동영상

여수 흥국사 대웅전 조선 중기에 지어진 흥국사의 대웅전 보물 제396호 고려시대 보조국사 지눌이 영축산에 창건한 흥국사의 법당으로 축으로 갑석(甲石)이 있는 단층 기단 위에 세워졌으며 정면 3칸, 측면 3칸의 단층 목조건물이다. 기둥 사이를 같은 간격으로 분할하고 각각 4개의 빗살문을 달아 전부 개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내부에는 삼존불상 뒤에 후불탱이 걸려 있고 기둥은 다포계 양식이며 지붕은 팔작지붕을 올렸다 출처: doop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