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포시의 사회문화

목포시의 사회문화

목포어린이바다과학관

목포어린이바다과학관

교육기관

전통 교육기관은 조선시대에 무안현에 속하여 1394년(태조 3)에 창건된 무안향교가 목포 지역의 공공 교육기관 역할을 하였다. 근대 교육기관은 1897년 무안군의 무안향교에서 개교한 무안항공립소학교가 1901년 북교동으로 이전한 뒤 1907년 공립목포보통학교로 개편되었으며, 이후 목포공립보통학교·목포제일공립보통학교·목포북교공립심상소학교·목포북교공립국민학교 등의 변천을 거쳐 지금의 목포북교초등학교로 이어진다. 1898년에는 일본인 거류민단의 자녀 교육을 위한 목포공립소학교가 설립되어 목포공립심상고등소학교·목포산수심상고등소학교로 개편되었다가 1945년 8·15광복 후 폐교되고 목포유달국민학교로 재개교하여 지금의 목포유달초등학교로 이어진다. 이밖에 1923년 이로공립보통학교(지금의 용해동 목포이로초등학교), 1933년 목포제2공립보통학교(지금의 산정동 목포산정초등학교), 1938년 목포용당공립심상소학교(지금의 산정동 목포서부초등학교), 1942년 목포동부공립국민학교(지금의 호남동 목포중앙초등학교) 등이 개교하였다.

중등교육기관은 1903년 지금의 양동에 미국 기독교 선교사들이 목포여학교와 영흥서당(永興書堂)을 설립하였다. 목포여학교는 1911년 정명여학교(貞明女學校)로 교명을 변경하고 1937년 일제의 신사참배를 거부하여 폐교하였다가 1947년 목포정명중학원으로 복교한 뒤 1950년 정명여자중학교로 개편되었으며, 1963년 목포정명여자중학교와 목포정명여자고등학교로 분리되어 지금에 이른다. 영흥서당도 신사참배를 거부하고 폐교하였다가 1952년 영흥중학교로 복교하여 1954년 영흥중학교와 영흥고등학교로 분리하였으며, 1980년 상동으로 이전하여 지금에 이른다. 이밖에 1917년 목포공립실과고등여학교(지금의 경동2가 목포여자중학교), 1920년 목포공립상업학교(지금의 용당동 목상고등학교), 1927년 송정공민학교(지금의 용당동 목포공업고등학교), 1941년 용당동 문태중학교, 1944년 목포공립여자상업실수학교(지금의 대성동 목포여자고등학교), 1945년 목포동광중학교(지금의 죽교동 목포홍일중학교) 등이 개교하였다.

고등교육기관은 1946년 용해동에서 개교한 목포사범학교가 목포교육대학·목포초급대학을 거쳐 1979년 4년제 국립목포대학으로 개편된 뒤 1990년 종합대학인 국립목포대학교로 승격되었으며, 1980년대에 대학 본부를 무안군 청계면의 도림캠퍼스로 이전하고 용해동에 목포캠퍼스를 두고 있다. 2021년을 기준하여 교육기관은 대학교 3개교(목포대학교·목포가톨릭대학교·목포해양대학교)와 전문대학 1개교(목포과학대학교), 고등학교 15개교, 중학교 16개교, 초등학교 33개교 등이 있다. 학생 수는 4만 9340여 명으로 도내 22개 시·군 가운데 순천시 다음으로 많다.

공공시설

공공 도서관은 용당동의 목포시립도서관, 용해동의 목포어울림도서관, 석현동의 목포어린이도서관과 목포영어도서관 등 시립 도서관 4개소와 산정동의 전남교육청목포도서관이 있으며, 이밖에 목원동의 반딧불작은도서관을 비롯하여 공립 작은도서관 19개소가 조성되어 있다. 2020년을 기준하여 의료기관은 종합병원 5개소(목포시의료원·목포기독병원·목포중앙병원·목포한국병원·세안종합병원)와 병원 15개소, 한방병원 9개소, 요양병원 9개소, 보건소 1개소 등이 있다. 언론 매체는 텔레비전 방송사 2개소(KBS목포방송국·목포MBC)와 라디오 방송사 2개소, 종합유선 방송사 1개소, 주간 신문사 6개소 등이 있다.

공공 체육시설은 대양동에 축구장·육상레인을 갖춘 주경기장과 보조경기장으로 이루어진 목포종합경기장과 목포야구장·목포국제축구센터, 옥암동에 부주산국민체육센터·부주산국제스포츠클라이밍센터·부주산축구장·부주산족구장·부주산산악자전거경기장·영산호카누경기장·부주산국제파크골프장, 용당동에 유달시립정구장·유달시립테니스장·유달검도체육관·유달게이트볼구장, 상동에 목포실내체육관·목포실내수영장·상동파크골프장·궁도장(연무정), 용해동에 남해파크골프장, 연산동에 서해파크골프장, 산정동에 산정동생활체육공원·삼학도파크골프장 등이 조성되어 있다.

문화·전시·공연 시설은 대의동2가의 '구 목포 일본영사관' 건물에 목포근대역사관 1관, 중앙동2가의 '구 동양척식주식회사 목포지점' 건물에 목포근대역사관 2관이 조성되어 있다. 또한 용해동에는 공연장·전시실 등을 갖춘 목포문화예술회관과 목포자연사박물관·목포생활도자기박물관·문예역사관·남농기념관·중요무형문화재전수교육관, 한국 문학사에 족적을 남긴 차범석·박화성·김우진·김현을 기리는 복합 문학관으로 꾸며진 목포문학관 등이 조성되어 있다. 이밖에 옥암동에 대소 공연장과 야외공연장 등을 갖춘 목포시민문화체육센터, 유달동에 노적봉예술공원미술관, 산정동에 김대중 노벨평화상 기념관, 광동3가에 목포문화원, 만호동에 신안문화원 등이 있다. 예술단으로는 시립 교향악단·무용단·연극단·합창단이 있다.

문화행사 및 축제

4월에 유달산봄축제가 열려 유달산 일원에서 일주도로변 꽃길 걷기, 시민과 함께하는 수군(水軍) 퍼레이드, 토크콘서트와 버스킹을 비롯하여 다양한 공연·경연 및 체험 프로그램이 진행된다. 10월에는 목포항구축제가 열려 목포항과 삼다도 일원에서 해상 퍼레이드와 난영가요제, 전통 파시(波市), 미디어아트 바닷길, 바다콘서트와 청소년하이볼페스티벌, 범선 승선 체험, 다문화 축제와 아시아 문화공연, 항구의 밤 등의 다채로운 행사가 펼쳐진다. 또한 9~10월에는 1959년에 시작된 목포예술제가 열려 한국예총 목포지부를 비롯한 지역 문화예술인들이 참여하는 다양한 예술 행사가 펼쳐지고, 10~11월에는 목포근대역사관 등이 있는 원도심의 근대역사문화공간 일원에서 문화재와 문화시설을 무료로 개방하는 목포문화재야행 행사가 열린다.

문화재

국가 지정 문화재는 보물 1점(목포 달성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과 사적 1개소(구 목포 일본영사관), 천연기념물 2점(목포 갓바위 풍화혈·신안 압해도 수각류 공룡알둥지 화석)과 국가무형문화재 1점(옥장) 등이 있다. 이밖에 1929년에 건립된 '구 호남은행 목포지점'과 1954년에 건립된 '구 목포사범학교 본관'을 비롯한 30점이 국가등록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도 지정 문화재는 전남유형문화재 3점(고하도 이충무공 기념비·목포 달성사 목조아미타삼존불좌상·반야사 수륙무차평등재의촬요)과 전남무형문화재 1점(시조창), 전남기념물 3점(고하도 이충무공유적·목포시사·구 동양척식주식회사 목포지점)과 전남문화재자료 3점(목포진지·목포 오포대·이훈동 정원) 등이 있다. 이밖에 죽교동에 있는 '목포의 눈물 노래비'를 비롯한 30여 점이 향토문화유산으로 지정되어 있다.

역참조항목

목포과학대학교

카테고리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