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치운동

자치운동

[ 自治運動 ]

요약 1920년대 일제강점기의 문화·정치 국면에서 전개된 민족개량주의 세력의 정치운동.

자치운동은 일제의 지배를 인정하는 범위 내에서 자치권을 획득하여 독립을 위한 실력을 양성하자는 주장이다. 현재 조선의 독자적인 힘으로는 독립을 쟁취할 수도 없고 유지할 수도 없으므로, 일본과 협상을 통하여 독립을 위한 자치권을 얻어내는 것이 최선이라는 것이었다. 자치운동은 이미 1910년대부터 국내외 및 일본 유학생들 사이에서 제기되었는데, 사회진화론에 따라 조선이 아직 일본을 제압하고 독립을 쟁취할 수 없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3·1운동을 주도한 천도교 지도부도 민족자결주의에 자극되어 자치운동을 고려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자력독립불능론(自力獨立不能論)’이 이후에도 그대로 이어져 1920년대 자치운동의 사상적 배경으로 작용하였다.

한편 자치운동이 제기된 직접적인 원인은 물산장려운동이 실패함에 따라 새로운 돌파구의 마련이 불가피해졌다는 데 있었다. 민족자본의 육성을 핵심적인 내용으로 하는 물산장려운동이 좌절되자 경제활동에는 정치권력의 보호가 필수적이라는 전제하에, 정치적으로 일제와 타협하여 자치권과 같은 정치권력을 획득하자는 논리가 성립되었던 것이다. 아울러 자치운동은 조선총독부의 자치론 검토와 밀접한 관련을 갖고 진행되었다. 조선총독부는 장기적으로는 자치제를 실시하여 독립운동의 기세를 꺾고, 단기적으로는 한국인들의 자치운동을 지원하여 민족운동을 분열시킬 목적으로 ‘자치제 실시 검토’라는 카드를 활용하였는데, 이러한 공작에 한국인 자치론자들이 이용당했던 것이다.

이와 같은 배경하에 전개된 자치운동은 1920∼1930년대 모두 세 차례 진행되었다. 첫 번째 자치운동은 1923∼1924년 천도교 신파의 최린, 동아일보사의 김성수송진우 등에 의하여 추진되었다. 특히 이광수는 《동아일보》에 〈민족적 경륜〉이라는 논설을 실어 자치운동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이들은 자치권 획득운동을 위하여 연정회(硏政會)라는 정치결사를 조직하려 하였으나, 비타협적 민족주의자들과 사회주의자들의 강력한 반발로 실패하였다. 두 번째 자치운동은 1925년 말 조선총독부가 자치제 검토를 시사한 것에 고무되어 1927년까지 진행되었다. 천도교 신파와 동아일보계는 또다시 연정회 결성을 계획하였다. 그러나 이 역시 비타협 민족주의자와 사회주의자들의 강력한 반대로 좌절되었으며, 오히려 이들이 신간회를 결성하는 직접적인 계기를 제공하였다. 세 번째 자치운동은 1929년 8월 사이토 마코토[齋藤實] 총독의 재부임과 함께 시작되어 1932년까지 계속되었다. 천도교 신파와 동아일보계는 조선총독부와 교류하면서 자치제 실시에 대비하였으며, 신간회 내부에서도 자치운동으로의 방향 전환을 모색하는 움직임이 대두되었다.

그러나 자치운동은 일본 정부가 자치제를 포기하고 지방제도의 개정이라는 미온적인 선택을 취함으로써 무산되었다. 요컨대 자치운동은 독립을 포기하고 일제의 지배를 인정하는 타협주의적 개량운동으로서 전체 민족운동에 혼란과 분열을 초래하였을 뿐만 아니라, 일제의 기만적인 문화정치를 도와주고 말았다.

참조항목

실력양성론

역참조항목

시중회, 연정회, 이광수

카테고리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