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유형

[ 柳珩 ]

요약 조선 중기의 무신.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장 김천일의 휘하로 강화도와 한강변 등에서 활약했다. 정유재란 때 이순신의 막료가 되어 전공을 세우고 경상우도 수군절도사, 삼도 수군통제사, 충청도 병마절도사 등을 지냈다.
출생-사망 1566 ~ 1615
본관 진주(晉州)
사온(士溫)
석담(石潭)
시호 충경(忠景)
활동분야 군사

본관 진주(晉州). 사온(士溫). 석담(石潭). 시호 충경(忠景). 공조판서 진동(辰仝)의 손자.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장 김천일(金千鎰)의 휘하에 들어가 강화도와 한강변 등에서 활약하였고, 이어 선조가 피란한 의주(義州)의 행재소(行在所)에 가서 선전관(宣傳官)이 되었다.

1594년 무과에 급제하여 남해현감이 되고, 1597년 정유재란 때 이순신(李舜臣)의 막료가 되어 왜적과 싸우던 중 왜적의 총탄을 맞고도 적선에 돌진하여 싸우는 등 전공을 세워 부산진첨절제사(釜山鎭僉節制使)에 특진되었다. 1600년 경상우도 수군절도사가 되고, 이듬해 이순신이 맡았던 삼도 수군통제사가 되었으며, 이어 충청도 병마절도사가 되었다. 1609년(광해군 1) 이후 함경북도 병마절도사 겸 회령부사, 경상도 ·평안도 ·황해도의 병마절도사를 역임하였다. 죽은 뒤 해남(海南)의 민충사(愍忠祠)에 제향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