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천일

김천일

[ 金千鎰 ]

요약 조선 중기의 문신 ·의병장. 임진왜란 때 나주에 있다가 고경명 등과 함께 의병을 일으켰다. 왜적에게 점령된 서울에 결사대를 잠입시켜 싸우고, 명나라 제독 이여송의 군대를 도왔으며, 진주성을 사수하다가 성이 함락되자 남강에 투신자결하였다.
정열사비

정열사비

출생-사망 1537 ~ 1593
본관 언양
사중
건재 ·극념당
시호 문열
국적 조선
활동분야 유학, 의병활동
출생지 나주
주요저서 《송천집》 《건재집》
주요업적 임진왜란 참전, 의병장으로 활약하다 진주성에서 전사.
시대 조선시대(광해군, 선조)

1537년 전라도 나주에서 출생하였다. 부친은 진사 김언침(金彦琛)이고 어머니는 양성이씨이다. 본관은 언양이고, 자 사중(士重), 호 건재(健齋)·극념당(克念堂), 시호는 문열(文烈)이다. 조선 중기의 유학자로 호남에서 명망이 높았던 이항(李恒)의 문하에서 학문을 익혔다. 1573년(선조 6) 그의 학행이 알려지자 유일(遺逸)로 천거되어 관직에 나아갔으며 군기시주부(軍器寺主簿)가 되고, 1576년 경상도 도사, 1578년 임실현감(任實縣監)을 지냈다. 1589년 낙향하여 의병을 조직하여 왜군을 물리치며 죽도에 머물렀던 정여립(鄭汝立)이 모반을 도모했다는 역모사건이 발생하여 그와 정치적 관련있는 동인(東人)들이 대거 실각하고 사사되었다. 이 사건을 기축옥사(己丑獄事)라 하며 이후 서인(西人)이 집권하면서 김천일도 나주 경현서원(景賢書院)의 원장을 맡았고 호남을 대표하는 유학자로 부각되었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왜적은 파죽지세로 진격하여 한성을 점령하였다. 전라도관찰사 이광(李洸)이 이끄는 5만 명의 관군이 수원에서 겨우 수천의 왜적에게 대패하였다는 소식을 듣고 나주에서 고경명(高敬命)·박광옥(朴光玉)·최경회(崔慶會) 등과 함께 의병을 일으켰다. 선조가 피난간 평안도를 향해 진군하다가, 왜적과 싸우면서 수원성(水原城)을 거쳐 강화도로 들어갔다. 그 공으로 판결사(判決事)가 되고 창의사(倡義使)의 호를 받았다. 왜적에게 점령된 한성(서울)에 결사대를 잠입시켜 싸우고, 행주산성에서도 의병을 투입하여 전투를 벌였다. 또한 한강변에 산재한 왜적의 여러 적진을 급습하는 등 크게 활약하였다. 다음해 정월 명나라 제독(提督) 이여송(李如松)의 군대가 평양성을 수복하고 개성을 향해 남진(南進)할 때, 그들을 도와 도로(道路)·지세(地勢) 및 적정(敵情) 등을 알려 작전을 도왔다.

왜군은 남쪽으로 퇴각하여, 조선의 남부지역을 점령하여 유리한 입지를 확보하고자 했다. 그런 전략의 첫번째 목표가 진주성(晉州城)이었다. 왜적의 목표를 간파한 조선군은 경남 의령에 집결하였으며 진주성을 사수하는 방안을 두고 의견을 달리했다. 명나라 원군은 대구와 남원에 주둔하였고, 도원수 권율(權慄)은 남원 운봉, 의병장 곽재우(郭再祐)는 합천 삼가에 머물며 왜적의 동태를 살폈다. 하지만 김천일은 절도사 최경회 등과 함께 진주성(晋州城)에 입성하여 사수(死守)하였다.

1593년 6월 15일 왜적은 카토 기요마사[加藤淸正], 고니시 유키나가[小西行長] 등 주력 장수를 내세워 진주성을 공격해왔다. 김천일은 원군을 요청하기 위해 부장 임우화(林遇華)를 성밖으로 보냈으나 왜적에게 잡혀 나무기둥에 묶어 조선군의 항전의지를 꺾고자 했다. 이어 양측의 치열한 공방전이 전개되었으며 왜적도 총력을 다하여 진주성을 공격하였다. 동분서주하며 눈부신 활약을 펼치던 황진(黃進)이 이마에 총탄을 맞고 급사하였으며 백병전이 벌어져, 화살이 떨어지고 창검이 부러져 대나무 창으로 응전하였다. 6월 29일 마침내 성이 함락되어 촉석루(矗石樓)로 밀려나자 '이곳이 우리가 죽을 곳입니다'이라는 말을 남기고 아들 김상건(金象乾)과 남강(南江)에 투신 자결하였다.

사후 좌찬성(左贊成)이 추증되고, 나주의 정열사(旌烈祠), 진주의 창렬사(彰烈祠), 순창의 화산서원(花山書院), 태인의 남고서원(南皐書院), 임실의 학정서원(鶴亭書院) 등에 배향(配享)되었다. 문집에 《건재집》이 있다.

김천일 본문 이미지 1
상주 전투진주 대첩이순신명량김시민곽재우한산도이순신정인홍이일신립유정(사명대사)정문부휴정(선사대사)이정암행주권율조헌영규김천일고경명조선일본김덕령김면

카테고리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