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감

현감

[ 縣監 ]

요약 지방행정관서인 현(縣)에 둔 우두머리.

(守令)으로 총칭된 지방관의 하나이다. 통일신라시대에는 현의 규모에 관계없이 모두 (縣令)이라 하였고, 고려시대에는 큰 현에는 (令), 작은 현에는 7품의 (監務)를 두었다. 이는 조선 초기까지 계속되다가 현감으로 고쳐 종6품의 외(外官職)으로 정하였다. 조선시대의 현감은 현령(종5품)이 관할하는 현보다 작은 고을의 원님이었다. 당시 지방의 말단기관장인 역(驛)의 (察訪:종6품)과 동격인, 지방수령으로서는 가장 낮은 관직이었는데, 조선시대의 현감은 138명에 이르렀다.

참조항목

,

역참조항목

, ,

카테고리

  • > > >
  • > >